【虛空界】 謂眼所見之大空 ▲黃檗宛陵錄 盡十方虛空界 元來是我一心體
허공계(虛空界) 이르자면 눈으로 보는 바의 대공(大空). ▲황벽완릉록. 온 시방의 허공계(虛空界)가 원래 이는 나의 일심의 체(體)다.
) -->
【虛空無邊】 謂虛空之無邊際也 ▲無準師範語錄一 虗空廣大 聖心廣大 虗空無邊 聖德無邊
허공무변(虛空無邊) 이르자면 허공의 변제(邊際)가 없음. ▲무준사범어록1. 허공이 광대하니 성심(聖心)도 광대하고 허공이 무변(虗空無邊)하니 성덕(聖德)도 무변하다.
) -->
【虛空無爲】 大乘唯識宗所立六無爲之一 謂眞如離各種障礙 猶如虛空 故稱虛空無爲 [成唯識論二 成唯識論述記二末] ▲宗鏡錄五十八 虛空無爲者 離一切色心諸法障礙 所顯眞理 名爲虛空無爲 虛空有三 一識變虛空 卽第六識上作解心 變起虛空相分故 二法性虛空 卽眞如體有離諸障礙 故名爲虛空 三事虛空 卽所見頑空是也
허공무위(虛空無爲) 대승 유식종에서 세운 바 6무위(無爲)의 하나. 이르자면 진여가 각종의 장애를 여의어 마치 허공과 같은지라 고로 명칭이 허공무위임 [성유식론2. 성유식론술기2말]. ▲종경록58. 허공무위(虛空無爲)란 것은 일체 색심(色心)의 제법 장애를 여의고 나타낸 바 진리를 이름해 허공무위다. 허공에 셋이 있다. 1은 식변허공(識變虛空)이니 곧 제6식상(第六識上)에 해심(解心)을 지어 허공상분(虛空相分)을 변기(變起)한 연고다. 2는 법성허공(法性虛空)이니 곧 진여체(眞如體)가 제장애를 여읨이 있어 고로 이름해 허공이다. 3은 사허공(事虛空)이니 곧 보는 바의 완공(頑空)이 이것이다.
) -->
【虛空法身】 如來五種法身之一 詳見五身 ▲宗鏡錄九十一 稱其大 則彌綸虛空 所謂虛空法身
허공법신(虛空法身) 여래 5종 법신의 하나. 상세한 것은 오신(五身)을 보라. ▲종경록91. 그 크기를 일컫자면 곧 허공을 미륜(彌綸)하나니 이른 바 허공법신(虛空法身)이다.
) -->
【虛空消殞】 首楞嚴經九云 汝等一人發眞歸元 此十方空皆悉銷殞 ▲梵琮語錄 虗空消殞 一日高名及第歸 野花啼鳥盡迎隨 孃生面目渾如舊 祇有靑禎異昔時
허공소운(虛空消殞) 수릉엄경9에 이르되 너희 등 한 사람이 발진귀원(發眞歸元)하면 이 시방의 허공이 모두 다 소운(銷殞; 사라져 없어지다)한다. ▲범종어록. 허공소운(虗空消殞) 어느 날 고명(高名)으로 급제하고 돌아오니/ 들꽃과 우는 새가 모두 영수(迎隨)한다/ 낭생(孃生)의 면목이 온통 옛과 같으나/ 단지 청정(靑禎)이 있어 석시(昔時)와 다르다.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0책(ㅎ)'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269쪽 (0) | 2019.12.27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268쪽 (0) | 2019.12.27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266쪽 (0) | 2019.12.27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265쪽 (0) | 2019.12.27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264쪽 (0) | 2019.1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