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虛堂和尙頌古評唱折中錄】 二卷 日本僧含虛叟編 對於虛堂智愚之頌古 折衷諸家之評唱 以資禪學士之參攷者
허당화상송고평창절중록(虛堂和尙頌古評唱折中錄) 2권. 일본승 함허수(含虛叟)가 편(編)했음. 허당지우의 송고에 대해 제가(諸家)의 평창을 절충하여 선학사(禪學士)의 참고(參攷)에 도움을 삼은 것.
) -->
【虛堂和尙語錄】 十卷 又稱虛堂智愚禪師語錄 虛堂禪師語錄 虛堂錄 虛堂語錄 收於大正藏第四十七冊 集錄楊岐派虛堂智愚之法語 偈頌 詩文 前七卷於虛堂在世時 其門人已刊行 後三卷宋代咸淳五年(1269) 妙源編纂刊行
허당화상어록(虛堂和尙語錄) 10권. 또 명칭이 허당지우선사어록ㆍ허당선사어록ㆍ허당록ㆍ허당어록이니 대정장 제47책에 수록되었음. 양기파 허당지우(虛堂智愚)의 법어ㆍ게송ㆍ시문을 집록했음. 전7권(前七卷)은 허당이 재세할 때 그의 문인이 이미 간행했고 후3권은 송대 함순 5년(1269) 묘원이 편찬해 간행했음.
) -->
【虛度光陰】 虛費歲月 ▲文益語錄 若也移時失候 卽是虛度光陰
허도광음(虛度光陰) 세월을 허비함. ▲문익어록. 만약에 이시실후(移時失候)하면 곧 이것이 광음을 허도(虛度光陰)함이다.
) -->
【虛頭】 虛假 虛幻 頭 後綴 ▲古尊宿語錄四十二雲庵眞淨 問 如何是虛頭一句 師云 這虗頭漢 ▲玄沙廣錄上 可中徹去 方得知之 若未究得 當知盡是虛頭
허두(虛頭) 허가(虛假). 허환(虛幻). 두는 후철. ▲고존숙어록42 운암진정. 묻되 무엇이 이 허두(虛頭)의 1구입니까. 스님이 이르되 이 허두한(虗頭漢)아. ▲현사광록상. 가중(可中; 가령) 철오(徹悟)한다면 비로소 이를 알겠지만 만약 구득(究得)하지 못하면 마땅히 알지니 모두 이는 허두(虛頭)다.
) -->
【虛頭漢】 虛妄不實者 ▲五燈會元三洪州水潦 有僧作一圓相 以手撮向師身上 師乃三撥 亦作一圓相 却指其僧 僧便禮拜 師打曰 這虛頭漢
허두한(虛頭漢) 허망하여 부실한 자. ▲오등회원3 홍주수료. 어떤 중이 1원상을 만들어 손으로 스님의 신상(身上)을 향해 모았다(撮). 스님이 곧 세 번 지웠다(撥). 또한 1원상을 만들어 그 중을 도리어 가리켰다. 중이 곧 예배했다. 스님이 때리고 가로되 이 허두한(虛頭漢)아.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0책(ㅎ)'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274쪽 (0) | 2019.12.27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273쪽 (0) | 2019.12.27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271쪽 (0) | 2019.12.27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270쪽 (0) | 2019.12.27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269쪽 (0) | 2019.1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