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태화선학대사전 10책(ㅎ)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287쪽

태화당 2019. 12. 28. 08:06

謂禪人之間試驗對方悟道之深淺 亦謂試驗某人資質根器 傳燈錄十八順德道怤 有僧引童子到曰 此兒子常愛問僧佛法 請和尙驗看

() 이르자면 선인지간(禪人之間)에 상대방의 오도의 심천을 시험함. 또한 어떤 사람의 자질이나 근기를 시험함을 말함. 전등록18 순덕도부. 어떤 중이 동자를 인도하여 이르러 가로되 이 아자(兒子; 아이)는 늘 승인에게 불법을 묻기를 좋아합니다. 화상에게 청하오니 시험()해 보십시오.

) --> 

驗過謂禪人之間試驗對方悟道之深淺 傳燈錄二十八羅漢桂琛 我常道 汝若有達悟處 但去却人我 披露將來 與汝驗過 明覺語錄三 有西天聲鳴三藏 到王大王處 王令玄沙驗過

험과(驗過) 이르자면 선인지간(禪人之間)에 상대방의 오도의 심천을 시험함. 전등록28 라한계침. 내가 늘 말하기를 너희가 만약 달오처(達悟處)가 있다면 다만 인아(人我)를 제거해버리고 피로(披露)하여 가지고 오너라, 너희에게 험과(驗過)하여 주리라. 명각어록3. 서천의 성명삼장(聲鳴三藏)이 있어 왕대왕(王大王)의 처소에 이르렀다. 왕이 현사로 하여금 험과(驗過)하게 했다.

) --> 

險夷崎嶇與平坦 禪門諸祖師偈頌上之下釋迦如來成道記 眞可謂父母孩孺導師險夷

험이(險夷) 기구(崎嶇)와 평탄. 선문제조사게송상지하 석가여래성도기. 진실로 가위(可謂) 해유(孩孺; 幼童)의 부모며 험이(險夷)의 도사(導師).

) --> 

驗人關邊境關門 察異色異服之人物 故云驗人關 緇門警訓八 從上先祖各有密傳宗旨 以辨正邪 爲之驗人關肘後印

험인관(驗人關) 변경의 관문은 이색이복(異色異服)의 인물을 감찰(監察)하므로 고로 이르되 험인관임. 치문경훈8. 종상(從上)의 선조가 각기 밀전(密傳)의 종지가 있어 정사(正邪)를 분변하나니 험인관(驗人關)ㆍ주후인(肘後印)이라 한다.

) --> 

驗主問汾陽十八問之一 又作探拔問 心行問 主 指師家 學人設計問題 以探試師家機略之深淺 稱爲驗主問 碧巖錄第四十一則 趙州問投子 大死底人却活時如何 投子對他道 不許夜行 投明須到 且道是什麽時節 無孔笛撞著氈拍版 此謂之驗主問 亦謂之心行問

험주문(驗主問) 분양 18문의 하나. 또 탐발문(探拔問)ㆍ심행문(心行問)으로 지음. ()는 사가(師家)를 가리키며 학인이 문제를 설계하여 사가의 기략(機略)의 심천을 탐시(探試)함을 일컬어 험주문(驗主問)이라 함. 벽암록 제41. 조주가 투자에게 묻되 거의 죽은 사람이 도리어 살아난 때는 어떠한가. 투자가 그에 대해 말하되 야행을 허락하지 않으니 날이 새거든 이름을 써라. 그래 말하라 이 무슨 시절인가. 구멍 없는 피리로 전박판(氈拍版)을 두드림이다. 이것은 이를 일러 험주문(驗主問)이라 하고 또한 이를 일러 심행문(心行問)이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