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태화선학대사전 10책(ㅎ)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293쪽

태화당 2019. 12. 28. 08:10

賢劫千佛指賢劫出現之千佛 或就因位而言 稱爲賢劫千菩薩 卽自過去拘留孫 拘那含牟尼 迦葉 釋迦牟尼之四佛 及當來出現之慈氏 師子焰 乃至樓至等千佛 稱爲賢劫千佛 [佛祖統紀三十 大寶積經九] 傳燈錄二十八慧忠國師 曰 敎中但見有情作佛 不見無情受記 且賢劫千佛 孰是無情佛耶

현겁천불(賢劫千佛) 현겁에 출현하는 천불을 가리킴. 혹 인위(因位)로 나아가 말하면 호칭이 현겁천보살(賢劫千菩薩)이 됨. 곧 과거 구류손(拘留孫)ㆍ구나함모니(拘那含牟尼)ㆍ가섭(迦葉)ㆍ석가모니(釋迦牟尼)4불로부터 및 당래(當來)에 출현할 자씨(慈氏)ㆍ사자염(師子焰) 내지 루지(樓至) 등 천불이니 일컬어 현겁천불(賢劫千佛)이라 함. [불조통기30. 대보적경9]. 전등록28 혜충국사. 가로되 교중(敎中)에 단지 유정이 부처가 됨은 보았지만 무정이 수기(受記)함을 보지 못했거늘 또 현겁천불(賢劫千佛)에 누가 이 무정불(無情佛)입니까.

) --> 

賢劫千佛名經現在賢劫千佛名經之略稱 一卷 譯於南朝梁代(502-557) 譯者不詳 收於大正藏第十四冊 與莊嚴劫千佛名經 星宿劫千佛名經 合稱三劫三千佛名經 列出拘那提佛至樓至佛等千佛之名 竝說明懺悔滅罪與稱佛名號之功德 宗寶道獨語錄六 賢劫千佛名經 無一佛不於往昔因地中 或然燈 或燒香 或散花 或施幢旛寶蓋 無量無邊 然後成佛

현겁천불명경(賢劫千佛名經) 현재현겁천불명경의 약칭. 1. 남조 양대(梁代; 502-557)에 번역했고 역자(譯者)는 불상. 대정장 제14책에 수록되었음. 장엄겁천불명경ㆍ성수겁천불명경과 더불어 합칭이 삼겁삼천불명경(三劫三千佛名經)이니 구나제불(拘那提佛)에서 루지불(樓至佛) 등에 이르기까지 천불의 이름을 열출(列出)하고 아울러 참회ㆍ멸죄와 칭불명호(稱佛名號)의 공덕을 설명했음. 종보도독어록6. 현겁천불명경(賢劫千佛名經) 1불이라도 왕석(往昔)의 인지(因地) 중에서 혹 연등, 혹 소향, 혹 산화, 혹 당번(幢旛)과 보개(寶蓋)를 무량무변으로 보시한 연후에 성불하지 않음이 없다.

) --> 

顯瓊宋代楊岐派僧 居岳州幕阜山長慶 得法於楊岐方會 [續燈錄十四]

현경(顯瓊) 송대 양기파승. 악주 막부산 장경에 거주했고 양기방회에게서 득법했음 [속등록14].

 

顯境名言唯識宗之敎義 以名句文等詮表事物之義理 稱爲表義名言 而七轉識之心心所能識別對象 正如名言能彰顯事物之義理 故稱顯境名言 宗鏡錄六 唯識論云 (中略)名言有二 一表義名言 卽能詮義 音聲差別 二顯境名言 卽能了境 心心所法

현경명언(顯境名言) 유식종의 교의니 명구문(名句文) 등으로 사물의 의리를 전표(詮表)함을 일컬어 표의명언(表義名言)이라 하고 7전식(轉識)의 심심소(心心所)로 능히 대상을 식별하여 바로 명언(名言)과 같이 능히 사물의 의리를 창현(彰顯)하므로 고로 호칭이 현경명언(顯境名言). 종경록6. 유식론에 이르되 (중략) 명언(名言)에 둘이 있다. 1은 표의명언(表義名言)이니 곧 능히 전의(詮義)하는 음성의 차별이다. 2는 현경명언(顯境名言)이니 곧 능히 요경(了境)하는 심심소법(心心所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