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태화선학대사전 10책(ㅎ)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295쪽

태화당 2019. 12. 28. 08:12

玄關出入玄妙道之關門 卽指深奧佛道之入口 禪宗頌古聯珠通集十二 韶石汾陽肯諾他 便知回首逆風波 不登麻谷玄關路 十二本經休得麽(照覺總)

현관(玄關) 현묘한 도에 출입하는 관문이니 곧 심오한 불도의 입구를 가리킴. 선종송고연주통집12. 소석(韶石; 운문)과 분양(汾陽)이 그를 긍낙(肯諾)했나니/ 머리를 돌려 풍파를 거스를 줄 바로 알았다/ 마곡의 현관로(玄關路)에 오르지 않았다면/ 12본경(本經)을 휴득(休得)했겠는가 (照覺總).

) --> 

絃管絃樂器與管樂器 南石文琇語錄二 醉我落花天 借他絃管裏

현관(絃管) 현악기와 관악기. 남석문수어록2. 낙화의 하늘에 나를 취하게 해 저 현관(絃管) 속을 빌렸다.

) --> 

見管鈔見管 卽現在管理之意 鈔 卽紙幣之意 卽指現前所有之錢財 反之 支出之錢財 則稱爲支鈔 百丈淸規三唱衣 除支外見管鈔若干

현관초(見管鈔) 현관(見管)은 곧 현재 관리의 뜻이며 초()는 곧 지폐의 뜻이니 곧 현전에 소유하는 전재(錢財)를 가리킴. 이와 반대로 지출의 전재(錢財)는 곧 일컬어 지초(支鈔)라 함. 백장청규3 창의(唱衣). 지초(支鈔)를 제한 밖의 현관초(見管鈔) 약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