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玄道】 禪法 ▲祖堂集十一中曹山 自造漕源法席 密契玄道 更無他往 而居荷玉矣 ▲從容錄第九十一 玄道在于妙悟 妙悟在于卽眞
현도(玄道) 선법(禪法). ▲조당집11 중조산. 조원(漕源)의 법석에 나아감으로부터 몰래 현도(玄道)에 계합했고 다시 다른 데로 가지 않았고 하옥(荷玉)에 거주했다. ▲종용록 제91. 현도(玄道)는 묘오(妙悟)에 있고 묘오는 즉진(卽眞)에 있다.
) -->
【玄徒】 又作玄侶 玄人 指僧侶 僧人 ▲圓悟語錄二 上堂云 三春已過九夏方新 聚玄徒雲間 扇眞風世外
현도(玄徒) 또 현려(玄侶)ㆍ현인(玄人)으로 지음. 승려ㆍ승인을 가리킴. ▲원오어록2. 상당해 이르되 3춘(春)은 이미 지나가고 9하(夏)가 방금 새롭다. 운간(雲間)에 현도(玄徒)를 모아 진풍(眞風)을 세외(世外)에 부채질한다.
) -->
【玄都觀】 北周 隋 唐道觀(道敎寺院)名 原名通道觀 隋開皇二年改名爲玄都觀 在陝西省長安縣南 崇業坊 [百度漢語] ▲無異廣錄六 玄都觀裏桃千樹 盡是劉郞去後栽
현도관(玄都觀) 북주ㆍ수ㆍ당의 도관(道觀; 도교 사원)의 명칭이니 원명은 통도관이었고 수 개황 2년 개명하여 현도관이라 했음. 섬서성 장안현 남쪽 숭업방(崇業坊)에 있었음 [백도한어]. ▲무이광록6. 현도관 속(玄都觀)의 도화 일천 그루는 모두 이 유랑(劉郞)이 떠난 후에 심었다.
) -->
【玄度燾】 淸代臨濟宗居士陸燾 字玄度 詳見陸燾
현도도(玄度燾) 청대 임제종거사 육도의 자가 현도니 상세한 것은 륙도(陸燾)를 보라.
) -->
【玄都澄】 五代僧 住興元府玄都山 嗣黃龍晦機 [五燈會元八 五燈嚴統八 五燈全書十六]
현도징(玄都澄) 오대승. 흥원부 현도산에 거주했고 황룡회기를 이었음 [오등회원8. 오등엄통8. 오등전서16].
) -->
【懸燈寺】 位於韓國京畿道加平郡下面 新羅法興王(514-539)時 爲梵僧摩羅訶彌創建 羅末先覺道詵重創 高麗熙宗時 普照知訥三創 名曰懸燈寺 朝鮮太宗十一年(1411) 得通己和四創 純祖二十四年(1823) 龜巖五創
현등사(懸燈寺) 한국 경기도 가평군 하면에 위치함. 신라 법흥왕(514-539) 때 범승 마라하미(摩羅訶彌)가 창건했음. 나말(羅末) 선각도선이 중건했고 고려 희종 때 보조지눌이 3창(創)하고 이름해 가로되 현등사라 했음. 조선 태종 11년(1411) 득통기화(得通己和)가 4창했고 순조 24년(1823) 귀암이 5창했음.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0책(ㅎ)'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303쪽 (0) | 2019.12.28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302쪽 (0) | 2019.12.28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300쪽 (0) | 2019.12.28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299쪽 (0) | 2019.12.28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298쪽 (0) | 2019.1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