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混修】 (1320-1392) 高麗國僧 字無作 幻菴其號 姓趙氏 廣州豐陽人 太古普愚法嗣 高麗忠肅王七年(1320)生 投大禪師繼松祝髮 至正紀元辛巳(1341) 赴禪試 登上上科 居五臺山神聖庵時 受孤雲庵懶翁惠勤之衣鉢 開禪會於瑞雲寺 五十歲 於恭愍王參席之廣明寺功夫選 唯一答對懶翁之問話 禑王爲國師 恭讓王卽位後 退居雉嶽山 朝鮮太祖在潛邸 嘗與師願成大藏 置瑞雲寺 朝鮮太祖元年壬申(1392)示寂 春秋七十三 夏臘六十 諡普覺國師 塔號定慧圓融 如今塔在忠州靑龍寺址 [海東佛祖源流]
혼수(混修) (1320-1392) 고려국승. 자는 무작(無作)이며 환암(幻菴)은 그의 호니 성이 조씨며 광주(廣州) 풍양(豐陽) 사람. 태고보우(太古普愚)의 법사(法嗣). 고려 충숙왕 7년(1320) 생이며 대선사 계송(繼松)에게 투신해 머리를 깎았음. 지정(至正) 기원(紀元) 신사(1341) 선시(禪試)에 다다라 상상과(上上科)에 등제(登第)했음. 오대산 신성암(神聖庵)에 거주할 때 고운암(孤雲庵) 나옹혜근(懶翁惠勤)의 의발을 받았고 서운사에서 선회(禪會)를 열었음. 50세에 공민왕이 참석한 광명사(廣明寺) 공부선(功夫選)에서 유일하게 나옹의 문화(問話)에 답대(答對)했음. 우왕(禑王)이 국사로 삼았고 공양왕이 즉위한 후 치악산으로 퇴거했음. 조선 태조가 잠저(潛邸)에 있을 적에 일찍이 스님과 대장(大藏)을 원성(願成)하여 서운사에 안치하기로 했음. 조선 태조 원년 임신(1392) 시적했고 춘추는 73, 하랍(夏臘)은 60. 시호가 보각국사(普覺國師)며 탑호는 정혜원융이니 여금에 탑이 충주 청룡사지(靑龍寺址)에 있음 [해동불조원류].
) -->
【渾淳】 淸濁未分也 [禪林寶訓音義] ▲禪林寶訓三 務以文彩煥爛相鮮爲美 使後生晩進不克見古人渾淳大全之旨
혼순(渾淳) 청탁(淸濁)이 나뉘지 않음 [선림보훈음의]. ▲선림보훈3. 문체(文彩)가 환란(煥爛)하고 상(相)이 선명함으로써 아름다움으로 삼음에 힘써 후생만진(後生晩進)으로 하여금 고인의 혼순(渾淳)한 대전(大全)의 지취를 능히 보지 못하게 한다.
) -->
【昏識】 昏昧之心識 指凡夫之無知而言 ▲萬善同歸集下 驚昏識之迅雷
혼식(昏識) 혼매(昏昧)한 심식이니 범부의 무지를 가리켜 말함. ▲만선동귀집하. 혼식(昏識)을 경각(驚覺)하는 신뢰(迅雷)다.
) -->
【魂神】 心識之異名 小乘立六識 大乘立八識 此六識八識 對於肉體謂之魂神 俗所謂靈魂也 ▲萬善同歸集下 命終魂神生蜈蚣蟲中
혼신(魂神) 심식의 다른 이름이니 소승은 6식(識)을 세우고 대승은 8식을 세움. 이 6식과 8식을 육체에 상대해 이를 일러 혼식이라 함. 세속에서 이르는 바 영혼임. ▲만선동귀집하. 명을 마치면 혼신(魂神)이 오공충(蜈蚣蟲; 지네) 가운데 태어난다.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0책(ㅎ)'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506쪽 (0) | 2019.12.30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505쪽 (0) | 2019.12.30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503쪽 (0) | 2019.12.30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502쪽 (0) | 2019.12.30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501쪽 (0) | 2019.12.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