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태화선학대사전 10책(ㅎ)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510쪽

태화당 2019. 12. 30. 08:04

洪覺範宋代黃龍派僧德洪 字覺範 詳見德洪

홍각범(洪覺範) 송대 황룡파승 덕홍의 자가 각범이니 상세한 것은 덕홍(德洪)을 보라.

) --> 

弘覺寺位於江蘇省江寧縣南牛頭山 牛頭法融開山 又稱佛窟寺

홍각사(弘覺寺) 강소성 강녕현 남쪽 우두산에 위치함. 우두법융이 개산했고 또 명칭이 불굴사.

) --> 

弘覺禪師】 ①唐代曹洞宗僧道膺的諡號 詳見道膺 淸代臨濟宗僧道忞的賜號 詳見道忞

홍각선사(弘覺禪師) 당대 조동종승 도응의 시호니 상세한 것은 도응(道膺)을 보라. 청대 임제종승 도민의 사호(賜號)니 상세한 것은 도민(道忞)을 보라.

) --> 

弘乾淸代曹洞宗僧 字玉笈 嗣嵩乳道密 住淮安潛庵 [廩山正燈錄]

홍건(弘乾) 청대 조동종승. 자는 옥급이며 숭유도밀을 이었고 회안 잠암에 거주했음 [늠산정등록].

) --> 

洪潔淸代臨濟宗僧 字樗木 錢塘(浙江杭州)鍾氏 投北京三敎祝髮 詣安化世高求戒 至天津大悲 得古燈炯心印 後遁跡五臺 出世眞定報恩 遷盛京雷音 宣府法華 [五燈全書一二補遺]

홍결(洪潔) 청대 임제종승. 자는 저목이며 전당(절강 항주) 종씨. 북경 삼교에 투신하여 머리를 깎았고 안화 세고에게 나아가 구계(求戒)했고 천진 대비에 이르러 고등형(古燈炯)의 심인을 얻었음. 후에 오대에 둔적(遁跡)했다가 진정 보은에서 출세했고 성경 뇌음과 선부 법화로 옮겼음 [오등전서102보유].

) --> 

弘經弘通經典 梵琦語錄十八 盈空寶施微塵佛 若比弘經福不如

홍경(弘經) 경전을 홍통(弘通). 범기어록18. 미진불(微塵佛)에게 하늘 가득히 보배로 보시하더라도 만약 홍경(弘經)에 비교한다면 복이 같지 못하다.

) --> 

弘經大士謂於佛經造論釋而弘通之之龍樹天親等諸菩薩也 元賢廣錄二十九 唐宋弘經大士分疏諸經 其傳至今日者 雖未必其合佛意與否 而考其大旨 皆所謂不違於佛者也

홍경대사(弘經大士) 이르자면 불경에 논석(論釋)을 지어 그것을 홍통(弘通)한 용수ㆍ천친 등 여러 보살임. 원현광록29. 당ㆍ송의 홍경대사(弘經大士)가 제경(諸經)을 분소(分疏; 분변)하여 그것이 금일에 전지(傳至)하는 것은 비록 반드시 그것이 여부(與否)의 불의(佛意)에 적합하지 않다 하더라도 그 대지(大旨)를 고찰(考察)하건대 모두 소위(所謂) 불타에 위배되지 않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