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洪山兪昭允汾禪師語錄】 六卷 淸代臨濟宗僧兪昭允汾說 上睿等編 又稱載堂和尙語錄 洪山兪昭禪師語錄 卷首敍 卷一至四 住江西廬山西林乾明禪寺 郢州潼泉山法興禪寺 鄂州東巖廣慧禪寺 景陵紫芝庵 鄂州大洪山寶通報國禪寺之語錄 卷五 齊安天臺山赤城禪寺語錄 示衆 機緣 頌古 歗堂和尙塔銘幷序 重修洪山寺疏 佛事 卷六 詩偈 今收錄於嘉興藏第三十七冊
홍산유소윤분선사어록(洪山兪昭允汾禪師語錄) 6권. 청대 임제종승 유소윤분이 설했고 상예 등이 편(編)했음. 또 명칭이 재당화상어록ㆍ홍산유소선사어록. 권수는 서(敍). 권1에서 4에 이르기까지는 강서 여산 서림 건명선사ㆍ영주 동천산 법흥선사ㆍ악주 동암광혜선사ㆍ경릉 자지암ㆍ악주 대홍산 보통보국선사에 주(住)하면서의 어록. 권5는 제안 천대산 적성선사어록ㆍ시중ㆍ기연ㆍ송고ㆍ소당화상탑명병서ㆍ중수홍산사소ㆍ불사. 권6은 시게. 지금 가흥장 제37책에 수록되었음.
) -->
【弘相】 ①金代曹洞宗僧 號西溪 沂水(今屬山東)王氏 試經得度 參普照虛明敎亨悟旨 出世鄭州大覺 嵩山少林 沂州普照 最後住淸凉 寂年六十四 有歸樂 退休 淸凉三集 及語錄一卷 [補續高僧傳十二 五燈全書六十一] ②淸代曹洞宗僧 字恒徹 贛州(今屬江西) 陳氏 年十八禮南安了山杲祝髮 參狗子無佛性話 凡經五載 一日有省 述偈呈杲 杲頷之 予記莂 後潛隱崇義大行山 康熙二十六年(1687) 繼席了山 [廩山正燈錄]
홍상(弘相) ①금대 조동종승. 호는 서계며 기수(지금 산동에 속함) 왕씨. 시경득도(試經得度)했고 보조 허명교형(虛明敎亨)을 참해 지취를 깨쳤고 정주 대각ㆍ숭산 소림ㆍ기주 보조에서 출세했고 최후에 청량에 주(住)했음. 시적한 나이는 64. 귀락ㆍ퇴휴ㆍ청량 3집(集) 및 어록 1권이 있음 [보속고승전12. 오등전서61]. ②청대 조동종승. 자는 항철(恒徹)이며 공주(지금 강서에 속함) 진씨. 나이 18에 남안 요산고(了山杲)를 예알하여 머리를 깎았고 구자무불성화를 참했는데 무릇 5재(載)를 경과하여 어느 날 깨침이 있었고 게를 진술해 고(杲)에게 보이자 고가 턱을 끄덕이고 기별(記莂)을 주었음. 후에 숭의 대행산에 잠은(潛隱)했고 강희 26년(1687) 요산을 계석(繼席)했음 [늠산정등록].
) -->
【弘誓鎧】 弘誓之心堅如鐵 可以此心奮進生死之陣頭 故比之於鎧 ▲緇門警訓四 披弘誓鎧策精進馬 執忍辱弓放智慧箭
홍서개(弘誓鎧) 홍서의 마음이 견고하기가 철과 같아서 가이(可以) 이 마음으로 생사의 진두(陣頭)에 분진(奮進)하므로 고로 개(鎧; 갑옷)에 비교함. ▲치문경훈4. 홍서개(弘誓鎧)를 입고 정진마(精進馬)를 채찍질하고 인욕궁(忍辱弓)을 가지고 지혜전(智慧箭)을 방사(放射)한다.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0책(ㅎ)'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525쪽 (0) | 2019.12.30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524쪽 (0) | 2019.12.30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522쪽 (0) | 2019.12.30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521쪽 (0) | 2019.12.30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519쪽 (0) | 2019.12.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