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化】 ①敎化 ▲宋高僧傳八弘忍傳 乃以法服付慧能 受衣化於韶陽 ②募化 ▲法演語錄上 自出緣化回 上堂云 白雲海會院 足水兼柴炭 唯少麻與麥 衆人皆盡見 親去化檀那 疏却阿羅漢 且望大慈悲 一一看佛面 ③逝世 ▲傳燈錄十五德山宣鑒 師復告諸徒曰 捫空追響 勞汝心神 夢覺覺非 竟有何事 言訖安坐而化
화(化) ①교화. ▲송고승전8 홍인전. 이에 법복을 혜능에게 부촉했다. 옷을 받고 소양(韶陽)을 화(化)했다. ②모화(募化). ▲법연어록상. 스스로 나가 연화(緣化)하고 돌아와 상당해 이르되 백운 해회원(海會院)은 물과 겸하여 시탄(柴炭)이 풍족하지만 오직 깨와 보리가 적다. 중인(衆人)이 모두 다 보았으니 친히 가서 단나(檀那)를 화(化)하되 아라한을 소각(疏却; 疏遠)하라. 다만 대자비를 바라나니 하나하나 불면(佛面)을 보아라. ③서세(逝世). ▲전등록12 덕산선감. 스님이 다시 여러 도중에게 고해 가로되 허공을 더듬고 메아리를 쫓아감(捫空追響)은 너희의 심신(心神)을 노고롭게 하나니 꿈과 깸이 그른 줄 깨달으면 필경에 무슨 일이 있으랴. 말을 마치자 안좌하여 화(化; 죽음)했다.
【和】 連 連同 介詞 表示强調語氣 ▲密菴語錄 華藏(密庵之法號)口似乞兒破席袋 和底一時翻了也
화(和) 련(連; 까지. 마저), 연동(連同)이니 개사(介詞). 강조하는 의기(語氣)를 표시함. ▲밀암어록. 화장(華藏; 密庵의 法號)의 입이 걸아(乞兒)의 해진 석대(席袋)와 같나니 바닥까지(和底) 일시에 뒤집었다.
) -->
【話】 佛祖言敎 禪家公案 亦作話頭 ▲祖堂集十一保福 擧得一百个話 不如揀得一个話 揀得一百个話 不如道取一个話 道得一百个話 不如行取一个話 ▲大慧語錄十九 趙州狗子無佛性話 喜怒靜鬧處亦須提撕
화(話) 불조의 언교(言敎), 선가의 공안이니 또 화두(話頭)로 지음. ▲조당집11 보복. 100개 화(話)를 거득(擧得)함이 1개 화를 간득(揀得)함만 같지 못하고 100개 화를 간득함이 1개 화를 도취(道取)함만 같지 못하고 100개 화를 도득(道得)함이 1개 화를 행취(行取)함만 같지 못하다. ▲대혜어록19. 조주의 구자무불성화(狗子無佛性話)는 희노정뇨처(喜怒靜鬧處)에서도 또한 꼭 제시(提撕)해야 한다.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0책(ㅎ)'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553쪽 (0) | 2019.12.30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552쪽 (0) | 2019.12.30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550쪽 (0) | 2019.12.30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549쪽 (0) | 2019.12.30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548쪽 (0) | 2019.12.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