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和伽羅】 <梵><巴> vyākaraṇa 梵語和伽羅 華言授記 十二分敎(十二部經)之一 詳見十二分敎 ▲祖庭事苑一 十二分 (中略)三和伽羅 授記
화가라(和伽羅) <범><파> vyākaraṇa. 범어 화가라(和伽羅)는 화언으론 수기(授記)니 12분교(12부경)의 하나. 상세한 것은 십이분교를 보라. ▲조정사원1. 십이분(十二分) (중략) 3. 화가라(和伽羅) 수기(授記)임.
) -->
【畫角】 軍用樂器 角 古樂器名 多用于軍隊中 畫 謂繪畫於角也 ▲雜毒海三 憶著當年未悟時 一聲畫角一聲悲 如今枕上無閒夢 大小梅花一任吹(孚上座)
화각(畫角) 군용 악기. 각(角)은 옛 악기의 이름이니 다분히 군대 중에서 사용함. 화(畫)는 각(角)에 회화(繪畫)했음임. ▲잡독해3. 당년의 깨치지 못한 때를 추억하니/ 한 소리 화각(畫角)에 한 소리 슬픔이었다/ 여금엔 침상(枕上)에 쓸데없는 꿈이 없나니/ 크고 작은 매화에 부는 대로 맡긴다 (부상좌).
) -->
【花甲子】 六十甲子的別稱 ▲無異元來廣錄三 壽日上堂 僧問 今日壽誕上堂 敢問 和尙年多少 師云 頻添花甲子 數到劫雲初
화갑자(花甲子) 60갑자의 별칭. ▲무이원래광록3. 수일(壽日; 壽誕이니 생일)에 상당. 중이 묻되 금일 수탄(壽誕)에 상당하셨습니다. 감히 묻습니다만 화상의 연세가 얼마입니까. 스님이 이르되 자주 화갑자(花甲子)를 더하고 자주(數) 겁운(劫雲)의 초에 이른다.
) -->
【華蓋】 以花而飾之傘蓋 ▲廣燈錄一釋迦牟尼佛 雲童持華 隨王献佛 生希有心而發願言 若我身得同佛身不謬者 是華住於空中 變大華蓋 纔發願已 其華成蓋 住虗空中 覆佛頂上
화개(華蓋) 꽃으로 장식한 산개(傘蓋). ▲광등록1 석가모니불. 운동(雲童)이 꽃을 가지고 왕을 따라 헌불하면서 희유한 마음을 내어 발원하여 말하되 만약 나의 몸이 불신(佛身)과 같음을 얻음이 와류(訛謬)가 아니라면 이 꽃이 허공에 머물면서 대화개(大華蓋)로 변하소서. 겨우 발원하여 마치자 그 꽃이 개(蓋; 傘蓋)가 되어 허공 중에 머물더니 불타의 정상(頂上)을 덮었다.
) -->
【火客】 又作火伴 火佃 禪林中 專司爨火之責者 [百丈淸規三 象器箋職位類]
화객(火客) 또 화반(火伴)ㆍ화전(火佃)으로 지음. 선림 중에서 찬화(爨火)의 책무를 전사(專司)하는 자 [백장청규3. 상기전직위류].
) -->
【和羮】 喩宰輔之職 ▲列祖提綱錄二十三圓悟勤 補袞乃仲山 和羮卽傅說
화갱(和羮) 재보(宰輔; 宰相)의 관직에 비유함. ▲열조제강록23 원오근. 보곤(補袞)은 곧 중산(仲山)이며 화갱(和羮)은 곧 부열(傅說)이다.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0책(ㅎ)'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554쪽 (0) | 2019.12.30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553쪽 (0) | 2019.12.30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551쪽 (0) | 2019.12.30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550쪽 (0) | 2019.12.30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549쪽 (0) | 2019.12.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