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畫龍看頭畫蛇看尾】 比喩指萬事萬物 有其開頭結尾處 ▲聯燈會要十六法石祖珍 僧問 投子繞繩床一匝 便爲推藏竟 此理如何 師云 畫龍看頭 畫蛇看尾
화룡간두화사간미(畫龍看頭畫蛇看尾) 만사만물은 그 개두(開頭)와 결미(結尾)하는 곳이 있음을 비유로 가리킴. ▲연등회요16 법석조진. 중이 묻되 투자가 승상(繩床)을 한 바퀴 돌고 곧 퇴장(推藏; 輪藏을 밀다)을 마쳤다 한 이 이치가 무엇입니까. 스님이 이르되 용을 그리거든 머리를 보고 뱀을 그리거든 꼬리를 보아라(畫龍看頭 畫蛇看尾).
) -->
【火龍窟】 釋迦如來成道記註上 火龍窟 西域記云 北印土城西有大洞窟 是瞿波龍王所居 其龍忽發惡心 欲害王壞國 佛知乃運神足往彼 龍王見佛歡喜 惡心乃息 佛爲說法 授不殺戒 因請留佛住此受我供養 佛言 吾將寂滅 今爲汝留影 至吾滅度後 汝惡心若起 當觀吾影 仍遣五百羅漢住此受汝供養 作福田也 因茲國土城邑永無憂患 記云 唐三藏奘法師親往禮拜供養 佛影遠望則金色炳耀 近則無視 ▲禪門諸祖師偈頌上之下釋迦如來成道記 或獼猴江或火龍窟
화룡굴(火龍窟) 석가여래성도기주상. 화룡굴(火龍窟) 서역기에 이르되 북인토(北印土) 성의 서쪽에 큰 동굴이 있는데 이는 구파용왕(瞿波龍王)이 거주하는 곳이다. 그 용이 홀연히 악심을 발하여 왕을 해치고 나라를 파괴하려고 했다. 불타가 알고서 이에 신족(神足)을 운전해 그곳에 갔다. 용왕이 불타를 보고 환희하며 악심을 곧 쉬었다. 불타가 설법하고 불살계(不殺戒)를 주었다. 인하여 불타를 만류하며 여기에 거주하면서 나의 공양을 받으시라고 청했다. 불타가 말씀하되 나는 장차 적멸한다. 내가 너를 위해 유영(留影)하리니 내가 멸도한 후에 이르러 네가 악심이 만약 일어나면 마땅히 나의 그림자를 관하라. 인하여(仍) 오백 라한을 보내 여기에 거주하면서 너의 공양을 받으며 복전(福田)을 짓게 하겠다. 이로 인해 국토와 성읍에 길이 우환이 없었다. 기(記)에 이르되 당삼장(唐三藏) 현장법사가 친히 가서 예배하고 공양했다. 불영(佛影)은 멀리서 바라보면 곧 금색이 병요(炳耀; 환히 빛남)하고 접근하면 곧 보이는 게 없다. ▲선문제조사게송상지하 석가여래성도기. 혹은 미후강(獼猴江)이며 혹은 화룡굴(火龍窟)이다.
) -->
【驊騮】 指赤紅色的駿馬 周穆王的八駿之一 常指代駿馬 ▲頌古聯珠通集三十六 鷃雀空啾啾 驊騮已千里
화류(驊騮) 적홍색의 준마를 가리킴. 주목왕(周穆王)의 8준(駿)의 하나. 늘 준마를 대체하여 가리킴. ▲송고연주통집36. 안작(鷃雀; 메추라기의 일종)은 공연히 짹짹거리고 화류(驊騮)는 이미 천 리다.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0책(ㅎ)'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570쪽 (0) | 2019.12.30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569쪽 (0) | 2019.12.30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567쪽 (0) | 2019.12.30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566쪽 (0) | 2019.12.30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565쪽 (0) | 2019.12.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