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華林寺】 ①位於廣東省廣州市下九路 按本寺第二代住持離幻元覺所撰之開山碑 此地梁大通元年(527) 菩提達摩航海東來著陸之處 故稱西來初地 建有西來庵 明崇禎初年 有宗符老人自漳州至 應庵主之請 起建道場 至淸代順治十二年(1655) 完成大雄寶殿 樓閣 堂廡 寮室 引河流名爲功德水 植樹而成祇園 榜曰華林禪寺 [西來初地華林寺考訪記(葛定華) 支那文化史蹟解說三] ②位於福建福州北郊屛山南麓 北宋乾德二年(964) 吳越王錢氏據福州 其臣下鮑脩讓爲郡守 建寺於此 初名越山吉祥禪院 明代正統年間賜額 改名華林寺 今僅存大殿 爲長江以南最古老之木構建築
화림사(華林寺) ①광동성 광주시 하구로에 위치함. 본사의 제2대 주지 이환원각이 찬(撰)한 바의 개산비(開山碑)를 안험컨대 이 지역은 양 대통 원년(527) 보리달마가 항해하여 동래(東來)해 착륙한 곳인지라 고로 명칭이 서래초지(西來初地)며 서래암(西來庵)이 건립되어 있었음. 명 숭정 초년 종부노인이 있어 장주(漳州)로부터 이르렀고 암주의 청에 응해 도량을 기건(起建)했음. 청대 순치 12년(1655)에 이르러 대웅보전ㆍ누각ㆍ당무(堂廡)ㆍ요실(寮室)을 완성했고 하류를 견인해 공덕수로 이름했고 식수(植樹)하여 기원(祇園)을 이루었고 방(榜)을 가로되 화림선사라 했음 [서래초지화림사고방기(葛定華) 지나문화사적해설3]. ②복건 복주 북교(北郊) 병산(屛山)의 남쪽 기슭에 위치함. 북송 건덕 2년(964) 오월왕 전씨가 복주에 웅거(雄據)하자 그의 신하 포수양이 군수가 되어 여기에 사원을 건립했음. 처음 이름은 월산길상선원이었고 명대 정통년 간 사액(賜額)하여 화림사로 개명했음. 지금은 겨우 대전(大殿)만 남았음. 장강 이남 가장 고로(古老)한 목조건축이 됨.
) -->
【華林園】 南北朝時代南朝之宮苑 位於江蘇江寧縣 齊武帝永明元年(483) 曾於此園設八關齋 梁武帝天監十四年(515) 武帝勅令安樂寺僧紹 撰華林佛殿衆經目錄四卷 未契帝意 十七年更詔請寶唱 改訂僧紹之目錄 新編爲經錄四卷 世稱寶唱錄 [歷代三寶紀十五] ▲宗鏡錄四十一 昔梁武帝 於華林園重雲殿 集四部衆 自講三慧般若經 時傅大士在會
화림원(華林園) 남북조시대 남조의 궁원(宮苑)이니 강소 강녕현에 위치했음. 제(齊) 무제 영명 원년(483) 일찍이 이 원(園)에서 팔관재를 베풀었음. 양무제 천감 14년(515) 무제가 안락사 승소(僧紹)에게 칙령해 화림불전중경목록 4권을 찬(撰)했는데 제의(帝意)에 계합하지 않았고 17년 다시 보창(寶唱)을 조청(詔請)하여 승소의 목록을 개정(改訂)해 경록(經錄) 4권을 신편(新編)했으니 세칭이 보창록(寶唱錄)임 [역대삼보기15]. ▲종경록41. 옛적에 양무제가 화림원(華林園) 중운전에서 사부중(四部衆)을 소집해 스스로 삼혜경(三慧經)과 반야경을 강설했다. 당시에 부대사도 법회에 있었다.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0책(ㅎ)'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573쪽 (0) | 2019.12.30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572쪽 (0) | 2019.12.30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570쪽 (0) | 2019.12.30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569쪽 (0) | 2019.12.30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568쪽 (0) | 2019.12.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