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華梵】 華者支那 梵者印度 多就言語文字而云 ▲禪林寶訓音義 維那 華梵兼擧 卽今之悅衆也
화범(華梵) 화(華)란 것은 지나며 범(梵)이란 것은 인도니 다분히 언어문자로 나아가 말함. ▲선림보훈음의. 유나(維那) 화범(華梵)을 겸거(兼擧)했다. 즉금의 열중(悅衆)이다.
【化法四敎】 天台宗之判敎學說 謂佛陀敎化衆生之敎法內容有藏敎 通敎 別敎 圓敎等四種 與化儀四敎竝稱爲天台八敎 一藏敎 全稱三藏(經律論)敎 指小乘敎 卽爲三乘人各別說生滅之四諦 以析空觀同斷見思惑 令入無餘涅槃 二通敎 指諸部般若 義通大小 包括深奧與淺顯之道理 卽爲三乘人 說體空無生之四諦 令同入無餘涅槃 三別敎 指其它方等經(大乘經) 卽不共二乘人說 專爲大菩薩說無量之四諦 以次第之三觀破三惑 令證但中之理 四圓敎 指法華經敎義 亦卽爲菩薩說無作之四諦 以圓融三觀同斷三惑 令證不但中之理 [法華玄義一 同十 四敎義一 同六] ▲紫柏集十四 天台有化儀化法四敎之說 淸涼有小始終頓圓五敎之說
화법사교(化法四敎) 천태종의 판교학설(判敎學說)이니 이르자면 불타가 중생을 교화하는 교법의 내용에 장교(藏敎)ㆍ통교(通敎)ㆍ별교(別敎)ㆍ원교(圓敎) 등 4종이 있음. 화의사교(化儀四敎)와 병칭하여 천태팔교(天台八敎)라 함. 1. 장교(藏敎) 전칭이 삼장(三藏; 經律論)교니 소승교를 가리킴. 곧 3승(乘)의 사람을 위해 각기 생멸의 4제(諦)를 별설(別說)하여 석공관(析空觀)으로 견사혹(見思惑)을 동단(同斷)하고 무여열반(無餘涅槃)에 들어가게 함. 2. 통교(通敎) 제부반야(諸部般若)를 가리킴. 뜻이 대소(大小)에 통하며 심오(深奧)와 천현(淺顯)의 도리를 포괄함. 곧 3승(乘)의 사람을 위해 체공무생(體空無生)의 4제(諦)를 설해 무여열반에 동입(同入)하게 함. 3. 별교(別敎) 기타의 방등경(方等經; 大乘經)을 가리킴. 곧 2승의 사람과 공유하지 않는 설이며 오로지 대보살을 위해 무량의 4제를 설해 차제의 3관(觀)으로 3혹(惑)을 깨뜨리고 단중(但中)의 도리를 증득하게 함. 4. 원교(圓敎) 법화경의 교의를 가리킴. 또한 곧 보살을 위해 무작(無作)의 4제를 설하고 원융삼관(圓融三觀)으로 3혹(惑)을 동단(同斷)하고 부단중(不但中)의 도리를 증득하게 함 [법화현의1, 동10. 사교의1, 동6]. ▲자백집14. 천태는 화의(化儀)와 화법사교(化法四敎)의 설이 있고 청량(淸涼)은 소시종돈원(小始終頓圓)의 5교의 설이 있다.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0책(ㅎ)'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577쪽 (0) | 2019.12.30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576쪽 (0) | 2019.12.30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574쪽 (0) | 2019.12.30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573쪽 (0) | 2019.12.30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572쪽 (0) | 2019.12.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