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化生王子】 唐代石霜慶諸所立王子五位中之一 見王子五位 ▲宗門玄鑑圖 四化生王子 燄裏寒氷結 楊花九月飛 泥牛吼水面 木馬逐雲嘶
화생왕자(化生王子) 당대 석상경제가 세운 바 왕자5위 중의 하나니 왕자오위를 보라. ▲종문현감도. 4. 화생왕자(化生王子) 화염 속에서 한빙(寒氷)이 얼고/ 양화(楊花)가 9월에 난다(飛)/ 이우(泥牛)는 수면에서 부르짖고/ 목마는 구름을 쫓아 운다.
) -->
【化書】 道家著作 唐末五代譚峭撰 其說多本黃老道德之旨 文筆簡勁奧質 內涵物理 化學 生物 醫藥等科學 共六卷 分道 術 德 仁 食 儉六化 一百一十篇 [百度百科] ▲祖庭事苑四 化書云 夫蠮螉之蟲 孕螟蛉之子 傳其情 交其精 湜其氣 和其神 隨物大小 俱得其眞 蠢動無定情 萬物無定形 小人由是知馬可使之飛 魚可使之馳 土木偶可使之有知 孾孩似乳母 斯道不遠
화서(化書) 도가(道家)의 저작이니 당말오대 담초(譚峭)가 찬(撰)했음. 그 설은 다분히 황로(黃老)의 도덕의 지취를 근본으로 했으며 문필(文筆)이 간경(簡勁)하고 오질(奧質; 오묘하면서 질박)함. 안에 물리ㆍ화학ㆍ생물ㆍ의약 등의 과학을 포용(涵)했음. 공히 6권이며 도ㆍ술ㆍ덕ㆍ인ㆍ식ㆍ검 6화(化)로 분류했고 110편 [백도백과]. ▲조정사원4. 화서(化書)에 이르되 무릇 나나니벌의 벌레는 명령(螟蛉; 빛깔이 푸른 나방과 나비의 幼蟲)의 새끼를 배어 그 정(情)을 전하고 그 정(精)을 교환하며 그 기(氣)를 맑게 하고 그 신(神)을 화합해 물건의 대소(大小)를 따라 모두 그 진(眞)을 얻는다. 준동(蠢動; 蠢은 꿈틀거릴 준. 곧 벌레가 꿈틀거리며 움직임)은 정(定)한 정(情)이 없으며 만물은 정(定)한 형상(形狀)이 없다. 소인(小人)이 이로 말미암아 아나니 말도 가히 날게 하고 물고기도 가히 달리게 하고 토목(土木)으로 된 허수아비도 가히 앎이 있게 하고 영해(孾孩; 孾은 어린아이 영. 孩는 어린아이 해)를 유모(乳母)와 같게 하는지라 이 도가 멀지 않다.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0책(ㅎ)'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587쪽 (0) | 2019.12.31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585쪽 (0) | 2019.12.31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583쪽 (0) | 2019.12.31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582쪽 (0) | 2019.12.31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581쪽 (0) | 2019.12.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