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華嚴菩薩】 梵僧稱淸涼國師澄觀爲華嚴菩薩 [稽古略三] ▲憨山夢遊集四十五 淸涼觀國師 華嚴菩薩也
화엄보살(華嚴菩薩) 범승(梵僧)이 청량국사 징관(澄觀)을 일컬어 화엄보살이라 했음 [계고략3]. ▲감산몽유집45. 청량관국사는 화엄보살(華嚴菩薩)이다.
) -->
【華嚴不厭樂禪師語錄】 三卷 淸代臨濟宗僧不厭道樂說 德普記錄 又稱不厭樂禪師語錄 不厭禪師語錄 卷首附序文 行由 卷一 住貴州興隆衛龍山寺 四川遵義府玉泉寺 重慶華嚴禪寺之語錄 卷二 小參 機緣 拈頌 卷三 單頌 雜著 印偈 佛事 今收錄於嘉興藏第三十八冊
화엄불염락선사어록(華嚴不厭樂禪師語錄) 3권. 청대 임제종승 불염도락(不厭道樂)이 설하고 덕보가 기록했음. 또 명칭이 불염락선사어록ㆍ불염선사어록. 권수에 서문ㆍ행유(行由)가 첨부되었음. 권1은 귀주 흥륭 위용산사ㆍ사천 준의부 옥천사ㆍ중경 화엄선사에 주(住)하면서의 어록. 권2는 소참ㆍ기연ㆍ염송. 권3은 단송(單頌)ㆍ잡저ㆍ인게(印偈)ㆍ불사. 지금 가흥장 제38책에 수록되었음.
) -->
【華嚴寺】 ①位於韓國全羅南道求禮郡馬山面智異山 曹溪宗第十九敎區本寺 日帝時三十一本山之一 新羅眞興王五年(544) 梵僧緣起創建 元曉義湘曾在此講華嚴經 朝鮮世宗六年(1424) 賜號曰湖左道禪宗大宗刹 宣祖二十五年(1592) 毁於兵火 三十九年碧巖覺性以重建 以後諸大德大揚禪風 肅宗二十八年(1702) 桂坡性能重建丈六殿 肅宗賜額曰覺皇殿 兼賜號曰禪敎兩宗大伽藍 ②位於山東嶗山之東 那羅延山(華嚴山)山麓 爲嶗山唯一現存之佛寺 明代崇禎(1628-1644)時 黃宗昌所捐造 初名華嚴庵 又稱華嚴禪院 後毁於兵火 淸代初年 黃坦資助慈霑禪師重建於今址 民國二十年(1931)改今名
화엄사(華嚴寺) ①한국 전라남도 구례군 마산면 지리산에 위치함. 조계종 제19교구 본사며 일제 시 31본산의 하나. 신라 진흥왕 5년(544) 범승(梵僧) 연기(緣起)가 창건했고 원효와 의상이 일찍이 여기에서 화엄경을 강설했음. 조선 세종 6년(1424) 사호(賜號)해 가로되 호좌도선종대종찰(湖左道禪宗大宗刹)이라 했음. 선조 25년(1592) 병화(兵火)에 훼멸되었고 39년 벽암각성(碧巖覺性)이 중건했고 이후에 여러 대덕이 선풍을 대양(大揚)했음. 숙종 28년(1702) 계파성능이 장륙전을 중건했고 숙종이 사액(賜額)해 가로되 각황전이라 하고 겸하여 사호(賜號)해 가로되 선교양종대가람(禪敎兩宗大伽藍)이라 했음. ②산동 노산(嶗山)의 동쪽 나라연산(那羅延山; 화엄산) 산기슭에 위치함. 노산에 유일하게 현존하는 불사(佛寺)가 됨. 명대 숭정(1628-1644) 때 황종창이 출연(出捐)한 것으로 축조하고 초명(初名)을 화엄암이라 했고 또 호칭하기를 화엄선원이라 했음. 후에 병화(兵火)에 훼멸되었고 청대 초년 황탄이 자점선사를 자조(資助)하여 지금의 터에 중건했고 민국 20년(1931) 지금의 명칭으로 고쳤음.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0책(ㅎ)'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602쪽 (0) | 2019.12.31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601쪽 (0) | 2019.12.31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599쪽 (0) | 2019.12.31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598쪽 (0) | 2019.12.31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597쪽 (0) | 2019.12.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