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태화선학대사전 10책(ㅎ)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609쪽

태화당 2019. 12. 31. 10:01

化緣終始指僧人的敎化事迹 生平行狀 祖堂集五長髭 嗣石頭 在潭州攸縣 未睹行錄 不決化緣終始

화연종시(化緣終始) 승인의 교화의 사적(事迹)과 생평의 행장(行狀)을 가리킴. 조당집5 장자. 석두를 이었고 담주 유현에 주재(駐在)했다. 행록(行錄)을 보지 못해 화연의 종시(化緣終始)가 불결(不決; 명료하지 못함)이다.

) --> 

化鹽勸化鹽也 續傳燈錄三十五淨慈慧光 作化鹽偈曰 合水和泥一處烹 水乾泥盡雪花生 乘時索起遼天價 公驗分明孰敢爭

화염(化鹽) 소금을 권화(勸化). 속전등록35 정자혜광. 화염게(化鹽偈)를 지어 가로되 합수화니(合水和泥)하여 한 곳에서 삶으니/ 물이 마르고 진흙이 다하매 설화(雪花)가 생긴다/ 승시(乘時)하여 요천가(遼天價)를 색기(索起)하니/ 공험(公驗)이 분명하거늘 누가 감히 다투나.

) --> 

華翳華爲空中之花 翳爲視物不能明之目 依翳目而見空華 空華必由翳目 圓覺經 妙覺圓照 離於華翳 五燈會元續略二仙林雪庭 華翳不生 空眞實際

화예(華翳) ()는 공중의 꽃이며 예()는 사물을 보면서 능히 밝지 못한 눈임. 예목(翳目)에 의해 공화(空華)를 보며 공화는 반드시 예목을 말미암음. 원각경. 묘각(妙覺)이 원조(圓照)하매 화예(華翳)를 여의다. 오등회원속략2 선림설정. 화예(華翳)가 생기지 않으니 공()이 진실제(眞實際).

) --> 

華屋華美的屋宇 如淨語錄上 滿天星斗輝華屋

화옥(華屋) 화려하고 아름다운 옥우(屋宇; ). 여정어록상. 하늘에 가득한 성두(星斗; 별의 총칭)가 화옥(華屋)을 빛낸다.


火浣布乃以火鼠之毛紡成者 不懼火 垢穢時得投於火中而浣之 據法苑珠林三十五載 魏明帝時 西國獻火浣布袈裟 以火試之 久燒不壞 禪林寶訓音義 褐 毛布裰 氷火二鼠之毛 所織之布也 火鼠入火不焚 毛長尺許 所謂火浣布是也 氷鼠者 北方有氷 厚百尺 有鼠在下 但食氷 毛長數寸 可以爲布 二事合成 冬暖夏凉 出神異記 碧巖錄第七十則 十洲皆海外諸國之所附 (中略)五炎洲 出火浣布

화완포(火浣布) 곧 화서(火鼠)의 털로 방직(紡織)해 이룬 것이니 불을 두려워하지 않음. 때묻어 더러울 때는 불 속에 득투(得投)하여 그것을 세탁(). 법원주림35의 기재에 의거하면 위명제(魏明帝) 때 서국에서 화완포 가사를 헌납했는데 불로 그것을 시험하매 오랫동안 태워도 파괴되지 않았음. 선림보훈음의. (; 베옷) 모포(毛布)로 기웠음이니 빙화(氷火) 2()의 털로 짠 바의 포(). 화서(火鼠)는 불에 들어도 타지 않고 털의 길이는 한 자 가량이니 이른 바 화완포(火浣布)가 이것임. 빙서(氷鼠)란 것은 북방에 얼음이 있는데 두께가 백 척이며 쥐가 있어 아래에 있는데 다만 얼음만 먹으며 털의 길이는 몇 치며 가이(可以) ()를 만듦. 2()를 합성하면 겨울엔 따뜻하고 여름엔 서늘함. 신이기(神異記)에 나옴. 벽암록 제70. 10()는 모두 해외 제국의 소부(所附)(중략) 5. 염주(炎洲) 화완포(火浣布)가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