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還源觀】 全稱修華嚴奧旨妄盡還源觀 一卷 略稱還源觀 又作還原觀 唐 法藏述 收於大正藏第四十五冊 ▲五宗錄五法眼 諸人各曾看還源觀 百門義海 華嚴論 涅槃經 諸多策子 阿那箇敎中有這箇時節
환원관(還源觀) 전칭이 수화엄오지망진환원관이니 1권. 약칭이 환원관(還源觀)이며 또 환원관(還原觀)으로 지음. 당(唐) 법장(法藏)이 술(述)했고 대정장 제45책에 수록되었음. ▲오종록5 법안. 제인이 각자 일찍이 환원관(還源觀)ㆍ백문의해(百門義海)ㆍ화엄론ㆍ열반경 여러 많은 책자(策子)를 보았으리니 어느 경교 중에 이런 시절이 있던가.
) -->
【還源福遇】 宋末曹洞宗僧福遇 字還源 詳見福遇
환원복우(還源福遇) 송말 조동종승 복우의 자가 환원이니 상세한 것은 복우(福遇)를 보라.
) -->
【還源遇】 宋末曹洞宗僧福遇字還源 詳見福遇
환원우(還源遇) 송말 조동종승 복우의 자가 환원이니 상세한 것은 복우(福遇)를 보라.
) -->
【幻有】 ①一切事象皆無實體性 唯現出如幻之假相 卽幻相 其存在則謂幻有 ▲五燈會元十五雲門文偃 拈拄杖曰 凡夫實謂之有 二乘析謂之無 緣覺謂之幻有 菩薩當體卽空 ②明代臨濟宗僧正傳 字幻有 詳見正傳 ▲列祖提綱錄六 天隱修禪師 幻有和尙忌拈香
환유(幻有) ①일체의 사상(事象)은 모두 실체성이 없고 오직 여환(如幻)의 가상(假相)만 현출(現出)함. 곧 환상(幻相)이니 그 존재를 곧 일러 환유(幻有)라 함. ▲오등회원15 운문문언. 주장자를 집어 가로되 범부는 실답다 하여 있음이라고 이르고 2승(乘)은 분석하여 없다고 이르고 연각은 환유(幻有)라고 이르고 보살은 당체(當體)가 곧 공이라 한다. ②명대 임제종승 정전의 자가 환유니 상세한 것은 정전(正傳)을 보라. ▲열조제강록6. 천은수선사가 환유화상(幻有和尙)의 기(忌)에 염향(拈香)하다.
) -->
【幻有傳】 明代臨濟宗僧正傳 字幻有 詳見正傳
환유전(幻有傳) 명대 임제종승 정전의 자가 환유니 상세한 것은 정전(正傳)을 보라.
) -->
【幻隱】 明代臨濟宗僧慧明的法號 詳見慧明
환은(幻隱) 명대 임제종승 혜명의 법호니 상세한 것은 혜명(慧明)을 보라.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0책(ㅎ)'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652쪽 (0) | 2019.12.31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651쪽 (0) | 2019.12.31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649쪽 (0) | 2019.12.31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648쪽 (0) | 2019.12.31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647쪽 (0) | 2019.12.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