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皇基】 帝王的基業 ▲悟逸語錄上 以此永壯皇基
황기(皇基) 제왕의 기업(基業). ▲오일어록상. 이로써 황기(皇基)를 길이 웅장(雄壯)하게 하리라.
) -->
【黃能】 一三足鱉 能 古代稱一種三足鱉 [百度百科] 二黃熊 [百度漢語] ▲拈八方珠玉集上 將謂錦鱗紅尾 元是沂浪黃能
황능(黃能) 1. 세 발의 자라니 능(能)은 고대에 일종의 세 발의 자라를 일컬었음 [백도백과]. 2. 황웅(黃熊) [백도한어]. ▲염팔방주옥집상. 장차 이르기를 금린홍미(錦鱗紅尾)라 하렸더니 원래 이는 기랑(沂浪; 沂는 물 이름)의 황능(黃能)이었다.
) -->
【黃檀】 蝶形花科 黃檀屬喬木植物 樹皮暗灰色 別名 不知春 望水檀 檀樹 白檀 [百度百科] ▲列祖提綱錄六雪巖欽 不知却有何憑據 紫栢黃檀一處燒
황단(黃檀) 접형화과(蝶形花科)니 황단은 교목(喬木) 식물에 속하며 수피(樹皮)는 어두운 회색. 별명은 부지춘(不知春)ㆍ망수단(望水檀)ㆍ단수(檀樹)ㆍ백단(白檀) [백도백과]. ▲열조제강록6 설암흠. 도리어 어떤 빙거가 있는지 알지 못하지만 자백(紫栢)과 황단(黃檀)을 한 곳에 사른다.
【黃端伯】 (1585-1645) 明代曹洞宗居士 江西新城人 字元公 號海岸道人 崇禎元年(1628) 擧進士 官至禮部郞中 後爲淸兵拘執 不屈而死 曾參學於曹洞宗之無明慧經禪師 反覆參究趙州柏樹子之公案 有所省悟 著有易疏 瑤光閣集等 [五燈全書六十二 明史二七五 明末忠烈紀實十二]
황단백(黃端伯) (1585-1645) 명대 조동종거사. 강서 신성 사람이며 자는 원공이며 호는 해안도인. 숭정 원년(1628) 진사에 선발(擧)되었고 벼슬이 예부낭중에 이르렀음. 후에 청병(淸兵)에게 구집(拘執)되었는데 굴하지 않고 죽었음. 일찍이 조동종의 무명혜경선사(無明慧經禪師)에게 참학했고 조주 백수자(柏樹子)의 공안을 반복하며 참구했고 성오(省悟)하는 바가 있었음. 저서에 역소(易疏), 요광각집 등이 있음 [오등전서62. 명사275. 명말충렬기실12].
) -->
【荒唐】 虛荒廣大 虛荒大言 荒 虛 荒廢 唐 廣大貌 大言 ▲汾陽語錄上 況乎山僧觸事荒唐 那陞此位 實當慙悚
황당(荒唐) 허황(虛荒)하고 광대함. 허황한 대언(大言). 황(荒)은 허(虛), 황폐. 당(唐)은 광대한 모양, 대언(大言). ▲분양어록상. 하물며 산승은 촉사(觸事)가 황당(荒唐)하거늘 어찌 이 자리에 오르겠는가. 실로 마땅히 참송(慙悚)하다.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0책(ㅎ)'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669쪽 (0) | 2019.12.31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668쪽 (0) | 2019.12.31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666쪽 (0) | 2019.12.31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665쪽 (0) | 2019.12.31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664쪽 (0) | 2019.12.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