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黃唐】 黃帝與唐堯的並稱 ▲列祖提綱錄一恕中慍 南北風塵俱蕩盡 熈熈萬姓歌黃唐
황당(黃唐) 황제(黃帝)와 당요(唐堯)의 병칭. ▲열조제강록1 서중온. 남북의 풍진이 모두 탕진(蕩盡)했고 희희(熈熈; 화목한 모양)한 만성(萬姓)이 황당(黃唐)을 노래한다.
) -->
【皇圖】 一封建王朝的版圖 亦指封建王朝 二指皇位 ▲列祖提綱錄十九箬庵問 今辰奉爲闔城善信結社放生 上祝皇圖祈消兵祲
황도(皇圖) 1. 봉건왕조의 판도(版圖). 또 봉건왕조를 가리킴. 2. 황위(皇位)를 가리킴. ▲열조제강록19 약암문. 오늘은 받들어 합성(闔城; 全城)의 선신(善信)이 결사(結社)하여 방생함을 위하고 위로 황도(皇圖)를 축하하고 병침(兵祲; 전쟁의 妖氣)의 소멸을 기도한다.
) -->
【黃度裕】 淸代臨濟宗僧濟裕 字黃度 詳見濟裕
황도유(黃度裕) 청대 임제종승 제유의 자가 황도니 상세한 것은 제유(濟裕)를 보라.
) -->
【黃獨】 土卵 ▲禪宗雜毒海一 懶殘 糞火但知黃獨美 銀鉤那識紫泥新 尙無餘力收寒涕 那有工夫對俗人(洪覺範)
황독(黃獨) 토란. ▲선종잡독해1. 나잔(懶殘) 분화(糞火)로 다만 황독(黃獨)의 미미(美味)만 알거늘/ 은구(銀鉤)가 어찌 자니(紫泥)의 신선함을 알리오/ 오히려 찬 눈물을 거둘 여력이 없거늘/ 어찌 속인에게 대답할 공부가 있으랴 (홍각범).
) -->
【黃頭】 指釋迦牟尼佛 又稱黃頭大士 黃頭老子 黃頭老 黃頭 黃面瞿曇 黃面老 黃面 黃老 如來爲金色身 故有斯等之稱 ▲祖庭事苑三 黃頭 梵云迦毘羅 此言黃頭 以佛生迦毘羅國 就生處而稱佛爲黃頭大士也 ▲五家正宗贊四洞山初 酒粧公子面 把黃頭碧眼倒卓屎坑頭 花插美人頭 將文殊普賢趁向牛欄裏
황두(黃頭) 석가모니불을 가리킴. 또 명칭이 황두대사ㆍ황두노자ㆍ황두로ㆍ황두ㆍ황면구담ㆍ황면로ㆍ황면ㆍ황로. 여래는 금색의 몸이 되는지라 고로 이런 등의 명칭이 있음. ▲조정사원3. 황두(黃頭) 범어로 이르되 가비라(迦毘羅)는 여기 말로는 황두(黃頭)니 불타가 가비라국에서 탄생했으므로 생처(生處)로 나아가 불타를 일컬어 황두대사(黃頭大士)라 함. ▲오가정종찬4 동산초. 술이 공자(公子)의 얼굴을 단장(丹粧)하니/ 황두(黃頭)와 벽안을 똥구덩이 속에 거꾸로 세우고/ 꽃이 미인의 머리에 꽂혔으니/ 문수와 보현을 데리고 우란(牛欄; 소 외양간) 속을 향해 달려간다.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0책(ㅎ)'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670쪽 (0) | 2019.12.31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669쪽 (0) | 2019.12.31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667쪽 (0) | 2019.12.31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666쪽 (0) | 2019.12.31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665쪽 (0) | 2019.12.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