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태화선학대사전 10책(ㅎ)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735쪽

태화당 2020. 1. 1. 11:00

懷淸宋代雲門宗僧 依五祖山師戒受法 住明州天童寺 [五燈會元十五 續傳燈錄二]

회청(懷淸) 송대 운문종승. 오조산 사계에게 의지해 법을 받았고 명주 천동사에 주()했음 [오등회원15. 속전등록2].

) --> 

懷楚】 ①宋代僧 嗣白兆志圓 居安州(今湖北安陸)竺乾院 寂于太平興國(9 76-983)年間 [傳燈錄二十三] 宋代雲門宗僧 得法於五祖山雙泉師戒 出世蘄州十王 [建中靖國續燈錄三 續傳燈錄二 五燈全書三十三 天聖廣燈錄二十三]

회초(懷楚) 송대승. 백조지원을 이었고 안주(지금의 호북 안륙) 축건원에 거주했고 태평흥국(976-983)년 간에 입적했음 [전등록23]. 송대 운문종승. 오조산 쌍천사계에게서 득법했고 기주 십왕(十王)에서 출세했음 [건중정국속등록3. 속전등록2. 오등전서33. 천성광등록23].

) --> 

懷忠唐代僧 嗣夾山善會 出居撫州(今屬江西)逍遙山 [傳燈錄十六 五燈會元六]

회충(懷忠) 당대승. 협산선회를 이었고 출세해 무주(지금 강서에 속함) 소요산에 거주했음 [전등록16. 오등회원6].

) --> 

會取領會 取 後綴 列祖提綱錄七汾陽昭 先聖云 一句語須具三玄門 一玄門須具三要 阿那箇是三玄三要底句 快會取好

회취(會取) 영회(領會; 깨달아 앎). 취는 후철. 열조제강록7 분양소. 선성(先聖)이 이르되 1구어(句語)에 모름지기 3현문(玄門)을 갖추고 1현문에 모름지기 3()를 갖춘다 했다. 어느 것이 이 33요의 구인가. 쾌히 회취(會取)해야 좋다.

) --> 

回趣迴心而趣佛道也 宗鏡錄四十七 慈恩成唯識論掌中樞要云 世親菩薩 樂博綜於三乘 乃遍遊於諸部 知小敎而非極 遂迴趣於大乘

회취(回趣) 회심하여 불도로 취향함임. 종경록47. 자은(慈恩) 성유식론장중추요에 이르되 세친보살이 3()을 박종(博綜)함을 좋아해 이에 제부(諸部)를 편유(遍遊)하고 소교(小敎)는 지극이 아님을 알고서 드디어 대승으로 회취(迴趣)했다.

) --> 

회칙도중수용불회칙세제류포(會則途中受用不會則世諦流布) 회즉도중수용불회즉세제류포(會則途中受用不會則世諦流布).

) --> 

懷胎孕胎 祖堂集九先洞安 金雞抱子歸霄漢 玉兔懷胎入紫微

회태(懷胎) 잉태. 조당집9 선동안. 금계(金雞)는 새끼를 안고 소한(霄漢; 하늘)으로 돌아갔는데 옥토는 회태(懷胎)하고 자미궁에 들어갔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