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문염송집주(5권)

선문염송집 권1 제28칙

태화당 2021. 9. 7. 07:55

二八佛問一*沙彌 汝處于家 昔爲何業 曰 愛彈琴 曰 絃緩如何 曰 不鳴 曰 絃急如何 曰 聲絶矣 曰 緩急得中如何 曰 淸音普矣 佛言 學道亦然

 

知非子頌 緩卽無聲急卽促 *子期云亡*伯牙哭 爭似無絃彈一曲 *宮商角徵諸音足

 

第二八則; 此話出四十二章經 又出中阿含經二十九中阿含大品沙門二十億經 又出增壹阿含經十三地主品 四十二章經 有沙門夜誦經甚悲 意有悔疑 欲生思歸 佛呼沙門問之 汝處于家 將修爲 對曰 彈琴 佛言緩何如 曰 不鳴矣 急何如 曰 聲絶矣 急緩得中何曰 諸音普佛告沙門 學道猶然 執心調適 道可得矣

沙彌; <> śrāmaṇera 全稱室羅摩拏洛迦 室羅末尼羅 此譯云求寂 息惡 息慈 勤策 卽止惡行慈 覓求圓寂之意 僧伽中 已受十戒 未受具足戒 年齡在七歲以上 未滿二十歲之出家男子 行事鈔資持記上一 沙彌是梵語 此云息慈 息其世染 慈濟群生

子期; 鍾子期(387-299) 名徽 字子期 春秋戰國時代楚國人 伯牙之友 善聽伯牙之鼓琴音 見下第三三則知音

伯牙; 春秋戰國時期晉國上大夫 善鼓琴者 又是作曲家 被人尊爲琴仙 見下第三三則知音

宮商角徵; 見上第五則宮商

 

二八불타가 한 사미(*沙彌)에게 물으시되 네가 집에 거처하면서 지난날 무슨 업을 했느냐. 가로되 탄금(彈琴)을 좋아했습니다. 가로되 줄이 느슨하면 어떠한가. 가로되 울리지 않습니다. 가로되 줄이 급하면 어떠한가. 가로되 소리가 끊어집니다. 가로되 완급(緩急)에 득중(得中)하면 어떠한가. 가로되 청음(淸音)이 보조(普調; )합니다. 불타가 말씀하시되 학도(學道)도 또한 그러하니라.

 

지비자(知非子)가 송하되 느슨하면 곧 소리가 없고 급하면 곧 다그치니()/ 자기(*子期)가 죽자(은 조사) 백아(*伯牙)가 곡한다/ 어찌 무현(無絃; 줄 없는 악기)으로 1곡을 탄주(彈奏)하여/ 궁상각치(*宮商角徵)의 제음(諸音)이 구족됨만 같으랴.

 

第二八則; 차화(此話)는 사십이장경(四十二章經)에 나오며 또 중아함경29 중아함대품사문이십억경(中阿含大品沙門二十億經)에 나오며 또 증일아함경13 지주품(地主品)에 나옴. 사십이장경. 어떤 사문이 밤에 송경(誦經)하다가 매우 슬펐다. 뜻에 회의(悔疑)가 있어 귀가할 사유(思惟)를 내려고 했다. 불타가 사문을 불러 물으셨다. 네가 집에 거처했을 때 무엇을 가지고 수업(修業)했는가. 대답해 가로되 항상 탄금(彈琴)했습니다. 불타가 말씀하셨다. 줄이 느슨하면 어떠한가. 가로되 울리지 않습니다. 줄이 급하면 어떠한가. 가로되 소리가 단절됩니다. 급완(急緩)에 득중(得中)하면 어떠한가. 가로되 제음(諸音)이 보(; 普調)합니다. 불타가 사문에게 고하셨다. 학도(學道)도 오히려 그러하여 마음의 조적(調適)을 가져야 도를 가히 얻는다.

沙彌; <> śrāmaṇera. 전칭이 실라마나락가ㆍ실라말니라. 여기에선 번역해 이르되 구적(求寂)ㆍ식악(息惡)ㆍ식자(息慈)ㆍ근책(勤策)이니 곧 악을 그치고 자비를 행하며 원적(圓寂)을 찾고 구함의 뜻. 승가(僧伽) 중에서 이미 10계를 받았으나 구족계를 받지 않은, 나이 7세 이상 20세 미만에 있는 출가한 남자임. 행사초자지기(行事鈔資持記; 四分律行事鈔資持記上) 1. 사미는 이 범어니 여기에선 이르되 식자(息慈). 그 세속의 오염을 쉬고 자비로 군생을 제도함이다.

子期; 종자기(鍾子期; 387-299)니 이름은 휘()며 자가 자기. 춘추전국시대 초나라 사람이며 백아(伯牙)의 벗임. 백아의 고금(鼓琴)의 음을 잘 들었음. 아래 제33칙 지음()을 보라. 아래 제33칙 지음(知音)을 보라.

伯牙; 춘추전국시기 진국(晉國)의 상대부(上大夫)니 거문고를 잘 두드린 자며 또 이 작곡가임. 사람들에게 금선(琴仙)으로 존칭됨을 입었음. 아래 제33칙 지음(知音)을 보라.

宮商角徵; 위 제5칙 궁상(宮商)을 보라.

 

선문염송집주 : 네이버 블로그 (naver.com)

 

선문염송집주

불교신문 광고 2022년 3월 발행. 150부. 5책 1질. 총 4,842쪽, 12.5pt. 4․6배판. 하드. 양장. 정가 60만 ...

blog.naver.com

 

'선문염송집주(5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문염송집 권1 제30칙  (0) 2021.09.07
선문염송집 권1 제29칙  (0) 2021.09.07
선문염송집 권1 제27칙  (0) 2021.09.06
선문염송집 권1 제26칙  (0) 2021.09.06
선문염송집 권1 제25칙  (0) 2021.09.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