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八二】阿難一日白佛言 今日出城 見一奇特事 佛云 見何奇特事 阿難云 入城時 見*一攢樂人作舞 出城揔見無常 佛云 我昨日入城 亦見一奇特事 阿難云 未審見何奇特事 佛云 我入城時 見一攢樂人作舞 出城時 亦見樂人作舞
大覺璉頌 入城見舞出無常 却是靈山旨趣長 若使阿難知舞意 蒼天三哭甚無妨
●第八二則; 聯燈會要一二祖阿難尊者 祖一日白佛云 今日入城 見一奇特事 佛云 見何奇特事 祖云 入城時 見一攢樂人作舞 出城 總見無常 佛云 我昨日入城 亦見一奇特事 祖云 未審見何奇特事 佛云 我入城時 見一攢樂人作舞 出城時 亦見一攢樂人作舞 ▲出曜經(三十卷 姚秦 竺佛念譯)一 爾時尊者阿難 長跪叉手前白佛言 唯然世尊 我向晨朝 著衣持鉢 入城乞食 見有男子作倡伎樂五欲自娛 便入城乞還出在外 見此男子忽已命終 …… 世尊告曰 汝今阿難有何奇特 我曾所覩乃爲奇特 出過汝今所見者上 我曾昔日 到時 著衣持鉢 入舍衛城分衛乞食 時我阿難見有男子在祇洹門外 作倡伎樂五欲自娛 時我入城乞食訖 還出城外 見此男子作倡伎樂如本不誤 我見奇特出汝者上
●一攢; 集韻 攢 聚也
【八二】 아난이 어느 날 불타에게 사뢰어 말하되 금일 출성(出城)하면서 하나의 기특한 일을 보았습니다. 불타가 이르시되 무슨 기특한 일을 보았는가. 아난이 이르되 입성(入城)할 때 한 무리(*一攢)의 악인(樂人)이 작무(作舞; 춤을 추다)함을 보았는데 출성하면서 모두 무상(無常)임을 보았습니다. 불타가 이르시되 내가 어제 입성하면서 또한 하나의 기특한 일을 보았다. 아난이 이르되 미심하오니 무슨 기특한 일을 보셨습니까. 불타가 이르시되 내가 입성할 때 한 무리의 악인(樂人)이 작무(作舞)함을 보았는데 출성할 때도 또한 악인이 작무함을 보았다.
대각련(大覺璉)이 송하되 입성하면서 춤추는 것을 보았는데 출성하매 무상(無常)이니/ 도리어 이 영산(靈山)의 지취(旨趣)가 훌륭하다(長)/ 만약 아난으로 하여금 춤의 뜻을 알게 한다면/ 창천(蒼天)하며 세 번 곡(哭)해도 심히 무방(無妨)하리라.
●第八二則; 연등회요1 2조 아난존자. 2조가 어느 날 불타에게 사뢰어 말하되 금일 입성(入城)하면서 하나의 기특한 일을 보았습니다. 불타가 이르시되 무슨 기특한 일을 보았는가. 2조가 이르되 입성할 때 한 무리(一攢)의 악인(樂人)이 작무(作舞; 춤을 추다)함을 보았는데 출성하면서 모두 무상(無常)임을 보았습니다. 불타가 이르시되 내가 어제 입성하면서 또한 하나의 기특한 일을 보았다. 2조가 이르되 미심하오니 무슨 기특한 일을 보셨습니까. 불타가 이르시되 내가 입성할 때 한 무리의 악인(樂人)이 작무(作舞)함을 보았는데 출성할 때도 또한 한 무리(一攢)의 악인이 작무(作舞(함을 보았다. ▲출요경(出曜經; 三十卷 姚秦 竺佛念譯) 1. 이때 존자 아난이 장궤차수(長跪叉手)하고 앞에서 불타에게 사뢰어 말하되 유연(唯然) 세존이시여 내가 접때(向) 신조(晨朝; 이른 아침)에 착의지발(著衣持鉢)하고 입성하여 걸식하는데 어떤 남자가 기악(伎樂)을 작창(作倡; 부르다)하며 5욕(欲)을 스스로 즐기는 것을 보았습니다. 곧 입성하여 걸식하고는 도리어 출성하여 밖에 있으면서 이 남자가 홀연히 이미 명종(命終)한 것을 보았습니다 …… 세존이 고해 가로되 너 여금의 아난이 무슨 기특함이 있겠는가, 내가 일찍이 본 바가 곧 기특함이 되어 네가 여금에 본 바의 위를 초출(超出)해 지난다. 내가 일찍이 지난날 도시(到時; 때에 이르다)하여 착의지발(著衣持鉢)하고 사위성에 들어가 분위걸식(分衛乞食; 分衛는 걸식 혹 團墮로 번역함)하는데 때에 내가 아난아, 어떤 남자가 기원(祇洹)의 문밖에 있으면서 기악(伎樂)을 작창(作倡)하며 5욕을 스스로 즐기는 것을 보았는데 때에 내가 입성하여 걸식을 마치고 도리어 성 뱎으로 나오매 이 남자가 기악을 작창하면서 본래와 같이 그릇되지 않음을 보았다. 내가 본 기특함은 너의 것 위를 초출한다.
●一攢; 집운(集韻) 찬(攢) 취(聚)다.
선문염송집주
불교신문 광고 2022년 3월 발행. 150부. 5책 1질. 총 4,842쪽, 12.5pt. 4․6배판. 하드. 양장. 정가 60만 ...
blog.naver.com
'선문염송집주(5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문염송집 권3 제84칙 (0) | 2021.09.20 |
---|---|
선문염송집 권3 제83칙 (0) | 2021.09.20 |
선문염송집 권3 제81칙(주석 한글) (0) | 2021.09.20 |
선문염송집 권3 제81칙(본문 한글) (0) | 2021.09.20 |
선문염송집 권3 제81칙(한문) (0) | 2021.09.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