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一一七】蒙山*道明禪師 因趂盧行者 至大庾嶺 行者見師至 卽擲衣鉢於石上云 此衣表信 可力爭耶 任君將去 師遂擧之 如山不動
育王諶頌 能放得下 明提不起 雲閑嶺頭 水忙澗底 水月和同 是非何已 雲散水流 你是我是
●第一一七則; 六祖壇經曰 次日 祖潛至碓坊 見能腰石舂米 語曰 求道之人 爲法忘軀 當如是乎 乃問曰 米熟也未 惠能曰 米熟久矣 猶欠篩在 祖以杖擊碓三下而去 惠能卽會祖意 三鼓入室 祖以袈裟遮圍 不令人見 爲說金剛經 至應無所住而生其心 惠能言下大悟 …… 惠能三更領得衣鉢 …… 惠能辭違祖已 發足南行 兩月中間 至大庾嶺 逐後數百人來 欲奪衣鉢 一僧俗姓陳 名惠明 先是四品將軍 性行麤慥 極意參尋 爲衆人先 趁及惠能 惠能擲下衣鉢於石上云 此衣表信 可力爭耶 能隱草莽中 惠明至 提掇不動
●道明; 唐代僧 鄱陽(江西)人 俗姓陳 陳宣帝之裔 國亡落於民間 以其王孫 曾受四品將軍之爵 因有將軍之號 幼年於永昌寺出家 於高宗之世 投黃梅山五祖弘忍 初無證悟 後聞大鑑慧能得五祖衣鉢 乃躡迹急追 而於大庾嶺會之 因六祖慧能之開示 言下大悟 遂獨往廬山布水臺 經三載後 始往袁州蒙山 大唱玄化 初名慧明或惠明 以避六祖上字 故名道明 弟子等盡遣過嶺南 參禮六祖 [五燈會元二 六祖壇經 祖堂集二 宋高僧傳八 傳燈錄四]
【一一七】 몽산도명선사(蒙山*道明禪師)가 인하여 노행자를 쫓다가 대유령(大庾嶺)에 이르렀다. 행자가 스님이 이름(至)을 보고 곧 의발을 돌 위에 던지고는 이르되 이 옷은 표신(表信)하거늘 가히 힘으로 쟁탈하겠는가. 그대의 가져 감에 맡긴다. 스님이 드디어 그것을 들었는데 산과 같아서 움직이지 않았다.
육왕심(育王諶)이 송하되 혜능은 놓아서 떨어뜨림을 얻었고/ 도명은 들어 일으키지 못했나니/ 구름은 영두(嶺頭)에서 한가하거늘/ 물은 간저(澗底)에서 바쁘다/ 수월(水月)이 화동(和同; 和睦同心)하면/ 시비가 어찌 그치리오/ 구름이 흩어지고 물이 흘러가야/ 너도 옳고 나도 옳다.
●第一一七則; 육조단경에 가로되 다음날 조(5조)가 몰래 대방(碓坊)에 이르러 혜능이 요석(腰石)하고 쌀을 찧음을 보았다. 말해 가로되 구도(求道)하는 사람은 법을 위해 몸을 잊어야 하나니 마땅히 이와 같아야 한다. 이에 물어 가로되 쌀이 성숙했는가 또는 아닌가. 혜능이 가로되 쌀이 성숙한 지 오래입니다만 아직 체질(篩)이 모자랍니다(猶欠篩在). 5조가 주장자로 방아를 세 번 치고 갔다. 혜능이 곧 5조의 뜻을 알고 3고(鼓)에 입실했다. 5조가 가사로 차위(遮圍)하여 타인이 보지 못하게 하고 금강경을 강설했다. 응무소주이생기심(應無所住而生其心; 응당 머문 바 없이 그 마음을 내다)에 이르러 혜능이 언하에 대오했다. …… 혜능이 3경(更)에 의발(衣鉢)을 받아 얻었다 …… 혜능이 5조를 사위(辭違; 辭別)한 다음 발족하여 남행했다. 두 달의 중간에 대유령(大庾嶺)에 이르렀다. 뒤를 쫓던 수백 인이 와서 의발을 뺏으려고 했다. 한 중이 속성은 진(陳)이며 이름은 혜명(惠明)이었는데 이전에 이 사품장군(四品將軍)이었으며 성격과 행위가 거칠고 조급했다. 뜻을 다해 찾으면서 중인의 선봉이 되었다. 쫓아서(趁) 혜능에게 이르렀다. 혜능이 돌 위에 의발을 던져 떨어뜨리고 이르되 이 옷은 표신(表信; 믿음을 표함)이거늘 가히 힘으로 다투겠는가. 혜능이 초망(草莽; 우거진 풀) 속으로 은신했다. 혜명이 이르러 제철(提掇; 당겨서 거두다)하매 움직이지 않았다.
●道明; 당대승. 파양(강서) 사람. 속성은 진(陳)이니 진선제(陳宣帝)의 후예임. 나라가 망하자 민간에 추락하였으나 그가 왕손이기 때문에 일찍이 사품장군(四品將軍)의 작위를 받았고 인하여 장군이란 칭호가 있었음. 유년에 영창사에서 출가하였고 고종의 시대에 황매산 5조 홍인에게 투신해 처음엔 증오(證悟)가 없었음. 뒤에 대감혜능이 5조의 의발을 얻었다 함을 듣고 이에 자취를 밟아 급히 추격하여 대유령에서 그를 만났으며 6조 혜능의 개시(開示)로 인하여 언하에 대오하고 드디어 홀로 여산 포수대로 갔으며 3재(載)가 지난 후 비로소 원주 몽산으로 가서 현화(玄化)를 대창(大唱)했음. 처음 이름은 혜명(慧明) 혹 혜명(惠明)이었으나 6조의 위의 글자를 피한지라 고로 도명으로 이름했음. 제자 등을 모두 보내어 영남에 이르게 하고 6조를 참례하게 했음 [오등회원2. 육조단경. 조당집2. 송고승전8. 전등록4].
선문염송집주 5책 1질로 발간되었습니다 : 네이버 블로그 (naver.com)
'선문염송집주(5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문염송집 권4 제119칙 (한문) (0) | 2021.10.01 |
---|---|
선문염송집 권4 제118칙 (0) | 2021.09.30 |
선문염송집 권4 제116칙 (0) | 2021.09.30 |
선문염송집 권4 제115칙(한글) (0) | 2021.09.30 |
선문염송집 권4 제115칙(한문) (0) | 2021.09.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