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문염송집주(30권)

선문염송집 권26 제1205칙

태화당 2022. 3. 17. 07:28

一二永安因僧問 如何是祖師西來意 師云 壁上畫枯松 蜂來競採蘂一本云不見蘂 又有問雲門 如何是祖師西來意 門云 長連床上 有粥有飯 又有問國淸泰和尙 如何是祖師西來意 泰云 *東壁打西壁

 

風穴擧永安競採蘂 師云 直木倚天邊 羚羊爭掛角

心聞賁拈 一句通途把斷 一句百味完全 一句移頭換尾 若揀辨得出 一任陳力就列 若揀辨不出 一家有事百家忙

 

第一二五則; 傳燈錄二十永安善靜 問 如何是西來意 師曰 壁上畫枯松 蜂來不見蘂 雲門廣錄一 問 如何是西來意 師云 長連床上 有粥有飯 聯燈會要七國淸奉 問 如何是祖師西來意 師云 東壁打西壁

東壁打西壁; 意謂室內空空蕩蕩 反映僧家生活儉朴 亦寓萬物皆空之義 寒山詩 房房虛索索 東壁打西壁 其中一物無 免被人來惜

 

一二영안(永安), 중이 묻되 무엇이 이 조사서래의입니까 함으로 인해 스님이 이르되 벽상에 고송(枯松)을 그리면 벌이 와서 다투어 꽃술을 채집한다(蜂來競採蘂) 일본(一本)에 이르되 꽃술을 보지 못한다(不見蘂). 또 어떤 이가 운문에게 묻되 무엇이 이 조사서래의입니까. 운문이 이르되 장련상상(長連床上)에 죽이 있고 밥이 있다. 또 어떤 이가 국청태(國淸泰) 화상에게 묻되 무엇이 이 조사서래의입니까. ()가 이르되 동벽이 서벽을 때린다(*東壁打西壁).

 

풍혈(風穴)이 들되 영안 다투어 꽃술을 채집한다. 스님이 이르되 직목(直木)이 하늘 가에 기댔고 영양(羚羊)이 다투어 괘각(掛角)한다.

 

심문분(心聞賁)이 염하되 1구는 통도(通途)를 파단(把斷)했고 1구는 백미(百味)가 완전하고 1구는 머리를 옮기고 꼬리를 바꾼다. 만약에 간변(揀辨)하여 냄을 얻는다면 힘을 펴(陳力) 대열(隊列)로 나아감에 일임하거니와 만약 간변하여 내지 못한다면 1()에 일이 있으면 백가(百家)가 바쁘다.

 

第一二五則; 전등록20 영안선정(永安善靜) 묻되 무엇이 이 서래의입니까. 스님이 가로되 벽상에 고송(枯松)을 그리면 벌이 와도 꽃술을 보지 못한다(). 운문광록1 묻되 무엇이 이 서래의입니까. 스님이 이르되 장련상상(長連床上)에 죽도 있고 밥도 있다. 연등회요7 국청태(國淸奉) 묻되 무엇이 이 조사서래의입니까. 스님이 이르되 동벽이 서벽을 때린다(東壁打西壁).

東壁打西壁; 뜻으로 이르자면 실내가 공공탕탕(空空蕩蕩; 비어서 아무 것도 없음)함이니 승가의 생활이 검박(儉朴)함을 반영. 또 만물이 모두 공함의 뜻에 머묾. 한산시. 방마다 비어 삭삭(索索)하나니/ 동벽이 서벽을 때린다(東壁打西壁)/ 그 중에 한 물건도 없나니/ 사람이 와서 아낌() 입음을 면한다.

 

 

선문염송집주 5책 1질로 발간되었습니다 (daum.net)

 

선문염송집주 5책 1질로 발간되었습니다

2022년 3월 발행. 150부. 5책 1질. 총 4,842쪽, 12.5pt. 4․6배판. 하드. 양장. 정가 60만 원. 한문주석 1만 여 개로 염송본문의 各則을 해석하고 전체를 한글로 번역. 주석의 쪽 수가 본문을 조금 초

blog.daum.net

 

'선문염송집주(30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문염송집 권26 제1207칙  (0) 2022.03.18
선문염송집 권26 제1206칙  (0) 2022.03.17
선문염송집 권26 제1204칙  (0) 2022.03.17
선문염송집 권26 제1203칙  (0) 2022.03.17
선문염송집 권26 제1202칙  (0) 2022.0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