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一二八一】智門*光祚禪師因僧問 蓮花未出水時如何 師云 蓮花 僧云 出水後如何 師云 荷葉
雪竇顯頌 蓮花荷葉報君知 出水何如未出時 *江北江南問王老 一狐疑了一狐疑
天童覺頌 莫向枯龜版上鑚 衲僧開口見心肝 蓮花荷葉出未出 做盡工夫轉覺難
長靈卓頌 蓮花荷葉的須分 無限淸香付與君 彈指若知霄漢路 便能平地起煙雲
佛鑑勤頌 香苞冷透波心月 綠葉輕搖水面風 出未出時君自看 都盧秪在一池中
松源頌 出水何如未出水 蓮花荷葉有來由 *定光金地遙招手 智者江陵暗點頭
天童覺拈 靈龜無卦兆 空殼不勞鑚
又上堂擧此話云 叢林多作出水未出水 蓮花荷葉商量 我也知你爲蛇畫足 更有底打傅口令 有底杓卜聽虛聲 㹅未得勦絶 長蘆爲你拈却了也 方知道 智門是箇無固必漢 長蘆今日 大似*鞏縣茶甁
寒嵓升上堂擧此話 連擧雪竇頌 師云 者兩个老漢 一等是不唧? 且拈放一邊 寒嵓老漢 爲你下个注脚 蓮花與荷葉 葉葉是淸香 有鼻不聞氣 只看荷柄長 若恁麽會 則有肥仙人 若不恁麽會 則無冷鑊湯 *長官左邊口齒痛 只灸門婆右*妳傍
心聞賁上堂擧此話 幷擧僧又問*洞山 蓮花未出水時如何 山云 楚山頭倒卓 僧云 出水後如何 山云 漢水正東流 師云 智門種出淤泥 洞山根抽陸地 雖然遍界香風 爭奈不曾開落
●第一二八一則; 此話出五燈會元十五
●光祚; 宋代雲門宗僧 浙江人 生卒年不詳 曾參訪益州(四川成都)靑城山香林院澄遠(雲門法嗣) 得其心印 竝嗣其法 初住隨州雙泉 復徙於智門寺 大振宗風 世稱智門光祚禪師 其弟子有雪竇重顯等十餘人 著有智門祚禪師語錄一卷行世 [廣燈錄二十二 聯燈會要二十七 五燈會元二十五]
●江北江南問王老; 碧巖錄第二十一則 江北江南問王老 雪竇意道 爾只管去江北江南 問尊宿出水與未出水 江南添得兩句 江北添得兩句 一重添一重 展轉生疑
●定光金地遙招手; 見上第八四二則定光金地遙招手
●鞏縣茶甁; 指多口(多言)之貌 鞏縣 河南鞏縣 有鞏縣茶瓶兩箇觜 鞏縣茶瓶三隻觜 鞏縣造茶瓶一隻三箇觜等禪語
●長官; 舊時指高級官吏 泛指官員 [百度漢語]
●妳; 同嬭 乳 玉篇 嬭 乳也
●洞山; 洞山守初 傳燈錄二十三洞山守初 問 蓮華未出水時如何 師曰 楚山頭倒卓 曰 出水後如何 師曰 漢水正東流
【一二八一】 지문(智門) 광조선사(*光祚禪師)가, 중이 묻되 연화가 물에서 나오지 않았을 땐 어떻습니까 함으로 인해 스님이 이르되 연화다. 중이 이르되 물에서 나온 후엔 어떻습니까. 스님이 이르되 하엽(荷葉; 연잎)이다.
설두현(雪竇顯)이 송하되 연화와 하엽(荷葉)을 그대에게 알려 알게 하노니/ 출수(出水)가 어찌 미출(未出)할 때와 같으랴/ 강북과 강남에서 왕로에게 물어(*江北江南問王老)/ 한 호의(狐疑)를 마치면 한 호의로다
천동각(天童覺)이 송하되 고귀(枯龜)의 판상(版上)을 향해 뚫지 말지니/ 납승이 입을 열면 심간(心肝)이 보인다/ 연화와 하엽이 나오고 나오지 않음은/ 공부를 지어 마쳐도 더욱 깨닫기 어렵다.
장령탁(長靈卓)이 송하되 연화와 하엽을 적실(的實)히 꼭 분별할지니/ 무한한 청향(淸香)을 그대에게 부여(付與)하리라/ 탄지(彈指)하매 만약 소한(霄漢; 하늘)의 길을 안다면/ 곧 능히 평지에 연운(煙雲)을 일으키리라.
불감근(佛鑑勤)이 송하되 향포(香苞; 향기로운 꽃망울)가 파도 가운데의 달을 냉투(冷透)하나니/ 녹엽(綠葉)이 수면의 바람에 가볍게 요동(搖動)한다/ 나왔을 때와 나오지 않았을 때를 그대가 스스로 보아라/ 도로(都盧; 전부) 다만 일지(一池) 가운데 있다.
송원(松源)이 송하되 출수(出水)가 출수하지 않음과 어찌 같으냐(何如)/ 연화와 하엽이 내유(來由)가 있다/ 정광이 금지에서 멀리 손짓하여 부르매(*定光金地遙招手)/ 지자(智者)가 강릉(江陵)에서 몰래 머리를 끄덕인다.
천동각(天童覺)이 염하되 영귀(靈龜)가 점괘(占卦)의 징조가 없으니 공각(空殼)을 노고롭게 뚫지 말아라.
또 상당하여 차화를 들고 이르되 총림에서 많이들 출수(出水)와 미출수(未出水), 연화와 하엽으로 지어서 상량하거니와 나는 너희가 위사화족(爲蛇畫足)한 줄 안다. 다시 어떤 이는 전구령(傅口令)을 짓고 어떤 이는 작복(杓卜)하며 헛소리를 듣나니 모두 초절(勦絶)을 얻지 못했다. 장로(長蘆; 正覺)가 너희를 위해 염각(拈却; 집어서 물리침)하고서야 비로소 알아 말하되 지문(智門)은 이(是箇) 무고필한(無固必漢)이다. 장로(長蘆)가 금일 공현다병(*鞏縣茶甁)과 매우 흡사하다.
한암승(寒嵓升)이 상당하여 차화를 들고 이어서 설두의 송을 들고는 스님이 이르되 이 두 개의 노한이 일등(一等; 一樣 평등) 이 부즉류(不唧?)니 다만 집어다 한쪽에 방치하고는 한암(寒嵓) 노한이 너희를 위해 이(个) 주각(注脚)을 내린다. 연화와 하엽이/ 이파리마다 이 청향(淸香)이다/ 코가 있어도 향기를 냄새 맡지 못하나니/ 다만 하병(荷柄; 荷葉의 줄기)의 긺을 보아라. 만약 이렇게 이회한다면 곧 살찐 선인(肥仙人)이 있고 만약 이렇게 이회하지 않는다면 곧 찬 확탕(冷鑊湯)이 없다. 장관(*長官)의 좌변(左邊)에 구치통(口齒痛)이 있으면 다만 문파(門婆)의 우내(右*妳; 오른쪽 젖)의 곁에 뜸을 뜬다.
심문분(心聞賁)이 상당하여 차화를 들고 아울러 들되 중이 동산(*洞山)에게 묻되 연화(蓮花)가 물에서 나오지 않았을 때 어떻습니까. 동산이 이르되 초산(楚山)의 꼭대기가 거꾸로 섰다. 중이 이르되 물에서 나온 후엔 어떻습니까. 동산이 이르되 한수(漢水)가 바로 동류(東流)한다. 스님이 이르되 지문(智門)은 종자(種子)가 어니(淤泥; 진흙)에서 나왔고 동산(洞山)은 뿌리가 육지에서 싹텄다(抽). 비록 그렇게 편계(遍界)에 향풍(香風)이지만 일찍이 개락(開落)하지 않음을 어찌하랴.
●第一二八一則; 차화는 오등회원15에 나옴.
●光祚; 송대 운문종승. 절강 사람이며 생졸한 해는 상세하지 않음. 일찍이 익주(사천 성도) 청성산 향림원(香林院)의 징원(澄遠; 운문의 법사)을 참방하여 그의 심인을 얻었으며 아울러 그의 법을 이었음. 처음은 수주 쌍천에 거주했고 다시 지문사(智門寺)로 이사했으며 종풍을 크게 떨쳤음. 세칭이 지문광조선사(智門光祚禪師)임. 그의 제자에 설두중현 등 10여 인이 있음. 저서에 지문조선사어록 1권이 있어 세상에 유행함 [광등록22. 연등회요27. 오등회원25].
●江北江南問王老; 벽암록제21칙. 강북강남문왕로(江北江南問王老) 설두가 뜻에 말하기를 네가 다만 관대(管帶; 몸과 마음에 지니어 잊지 않음)하여 강북이나 강남으로 가서 존숙에게 출수(出水)와 미출수를 물어 강남에서 두 구를 더하고 강북에서 두 구를 더하여 한 겹에 한 겹을 더하여 전전(展轉)히 의심을 낸다 함이다.
●定光金地遙招手; 위 제842칙 정광금지요초수(定光金地遙招手)를 보라.
●鞏縣茶甁; 다구(多口; 다언)의 모양을 가리킴. 공현(鞏縣)은 하남 공현임. 공현의 다병은 두 개의 주둥이다ㆍ공현의 다병은 3척(隻)의 주둥이다ㆍ공현에서 만든 다병은 1척(隻)에 3개의 주둥이다 등의 선어(禪語)가 있음.
●長官; 구시(舊時)에 고급관리를 가리켰음. 널리 관원(官員)을 가리킴 [백도한어].
●妳; 내(嬭)와 같음. 유(乳)임. 옥편 내(嬭) 유(乳)다.
●洞山; 동산수초(洞山守初)임. 전등록23 동산수초. 묻되 연화가 물에서 나오지 않았을 때 어떻습니까. 스님이 가로되 초산(楚山)의 꼭대기가 거꾸로 섰다. 가로되 물에서 나온 후엔 어떻습니까. 스님이 가로되 한수(漢水)가 바로 동류(東流)한다.
선문염송집주 5책 1질로 발간되었습니다 : 네이버 블로그 (naver.com)
선문염송집주 5책 1질로 발간되었습니다
불교신문 광고 2022년 3월 발행. 150부. 5책 1질. 총 4,842쪽, 12.5pt. 4․6배판. 하드. 양장. 정가 60만 ...
blog.naver.com
'선문염송집주(30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문염송집 권28 제1283칙 (0) | 2022.03.27 |
---|---|
선문염송집 권28 제1282칙 (0) | 2022.03.27 |
선문염송집 권28 제1280칙 (0) | 2022.03.27 |
선문염송집 권28 제1279칙 (0) | 2022.03.27 |
선문염송집 권28 제1278칙 (0) | 2022.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