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문무고

종문무고(宗門武庫) 028

태화당 2022. 8. 4. 07:31

28*劉宜翁甞參佛印 頗自負甚輕薄眞淨 一日從雲居來遊歸宗至法堂 見眞淨便問 長老*寫戲來得幾年 淨曰 專候樂官來 翁曰 我不入這*保社 淨曰 爭柰卽今在這*場子裏 翁*擬議 淨拍手曰 *蝦蟆禪秖跳得一跳 又坐次指其衲衣曰 喚作什麽 淨曰*禪衣 翁曰 如何是禪 淨乃抖擻曰 抖擻*不下 翁無語 淨打*一下云 爾伎倆如此 要勘老僧耶

 

劉宜翁; 劉誼 宋湖州長興人 字宜父 一字宜翁 號三茅翁 英宗治平四年(1067)進士 爲江西提擧 神宗熙寧(1068-1077)中上疏 極論新法不便 坐廢黜 隱於茅山以終 有劉宜翁文集 [古詩文網]

寫戲; 舊時地方演戲 由會首出面先與戲班簽書合同 謂之寫戲 [百度]

保社; 指道場 寺院 保 舊時戶籍編制單位 隋唐五家爲保 宋十家爲保 社 古代地方基層行政單位 一二十五家爲社 二方六里爲社 三元代五十家爲社

場子; 廣場 會場 運動場等 子 後綴

擬議; 思慮 遲疑 說文 擬 度也 說文 議 語也 易繫辭上傳 言天下之至賾 而不可惡也 言天下之至動 而不可亂也 擬之而後言 議之而後動 擬議以成其變化

蝦蟆禪; 蝦蟆唯解一跳 不解他術 以喩認一知半解爲是 而不通於他之不活脫不自由之死禪

禪衣; 禪僧之衣

不下; 用在動詞後尾 表示其動作不能爲

一下; 一回 下 量詞 指動作的次數

 

28유의옹(*劉宜翁)이 일찍이 불인(佛印; 미상)을 참()했고 자못 자부하면서 매우 진정(眞淨; 克文)을 경박(輕薄)하게 여겼다. 어느 날 운거(雲居)로부터 귀종(歸宗)에 내유(來遊)하다가 법당에 이르렀다. 진정을 보고 곧 묻되 장로(長老)는 사희(*寫戲)하여 온 지 몇 년을 얻었습니까. 진정이 가로되 오로지 악관(樂官; 유의옹을 가리킴)이 오기를 기다렸다. 옹이 가로되 나는 이 보사(*保社)에 들지 않았습니다. 진정이 가로되 즉금 이 장자(*場子) 속에 있음을 어찌하겠는가. 옹이 의의(*擬議)하자 진정이 박수(拍手)하고 가로되 하마선(*蝦蟆禪)이라 다만 한 번 뜀을 얻었다. 또 좌차(坐次)에 그 납의(衲衣)를 가리키며 가로되 무엇이라고 불러 짓습니까. 진정이 가로되 선의(禪衣). 옹이 가로되 무엇이 이 선()입니까. 진정이 곧 두수(抖擻; 털다)하고 가로되 두수(抖擻)하지 못했다(*不下). 옹이 말이 없었다. 진정이 한 번(*一下) 때리고 이르되 네가 기량(伎倆)이 이와 같으면서 노승을 감험(勘驗)하려 했는가.

 

劉宜翁; 유의(劉誼)니 송() 호주(湖州) 장흥 사람. 자는 의부(宜父)며 일자(一字)는 의옹(宜翁)이며 호는 삼모옹(三茅翁). 영종 치평 4(1067) 진사(進士)며 강서제거(江西提擧)가 되었음. 신종 희녕(熙寧1068-1077) 중에 상소(上疏)하여 신법(新法)의 불편함을 극론(極論)했다가 연좌(連坐)되어 폐출(廢黜)되었고 모산(茅山)에 은거하다 마쳤음. 유의옹문집(劉宜翁文集)이 있음 [고시문망]

寫戲; 구시(舊時)의 지방 연극. 회수(會首)에 출면(出面)하여 먼저 희반(戲班)과 더불어 첨서(簽書)함으로 말미암아 합동(合同)하나니 이를 일러 사희(寫戲)라 함 [백도].

保社; 도량ㆍ사원을 가리킴. ()는 구시에 호적의 편제단위(編制單位)니 수ㆍ당은 5()로 보()를 삼았고 송은 10가로 보를 삼았음. ()는 고대 지방 기층(基層) 행정단위니 1. 25()가 사()가 됨. 2. 사방 6리가 사가 됨. 3. 원대에 50가를 사로 삼았음.

場子; 광장ㆍ회장(會場)ㆍ운동장 등. 자는 후철.

擬議; 사려. 지의(遲疑; 주저하며 의심함). 설문 의() (; 헤아리다)이다. 설문 의() (). 역 계사상(繫辭上) (). 천하의 지색(至賾; 가장 精微奥理)을 말해도 가히 악(; 過錯)하지 않고 천하의 지동(至動; 가장 細致한 변화)을 말해도 가히 난(; 혼란)하지 않는다. 이를 의()한 후에 말하고 이를 의()한 후에 동()하나니 의의(擬議)하여 그 변화를 이룬다.

蝦蟆禪; 하마(蝦蟆; 두꺼비)는 오직 한 번 뛸 줄만 알고 다른 기술을 알지 못함. 일지반해(一知半解)를 인정해 옳음을 삼고 다른 것에는 통하지 않는 활탈(活脫)하지 않고 자유롭지 아니한 사선(死禪)에 비유함.

禪衣; 선승(禪僧)의 옷.

不下; ()이 동사 후미에 두어 그 동작을 능히 하지 못함을 표시.

一下; 1. ()는 양사니 동작의 차수(次數)를 가리킴.

 

선문염송집주 5책 1질로 발간되었습니다 (tistory.com)

 

선문염송집주 5책 1질로 발간되었습니다

2022년 3월 발행. 150부. 5책 1질. 총 4,842쪽, 12.5pt. 4․6배판. 하드. 양장. 정가 60만 원. 한문주석 1만 여 개로 염송본문의 各則을 해석하고 전체를 한글로 번역. 주석의 쪽 수가 본문을 조금 초

pyungsimsa.tistory.com

 

'종문무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종문무고(宗門武庫) 030  (0) 2022.08.05
종문무고(宗門武庫) 029  (0) 2022.08.05
종문무고(宗門武庫) 027  (0) 2022.08.04
종문무고(宗門武庫) 026  (0) 2022.08.03
종문무고(宗門武庫) 025  (0) 2022.08.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