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림보훈합주

선림보훈합주 050

태화당 2022. 9. 23. 08:17

50 朱世英問晦堂曰 君子不幸小有過差 而聞見指目之不暇 小人終日造惡而不以爲然 其故何哉 晦堂曰 君子之德 比美玉焉 有瑕生內 必見於外 故見者稱異 不得不指目也 若夫小人者 日用所作 無非過惡 又安用言之章江集

 

50 주세영(朱世英)이 회당(晦堂)에게 물어 가로되 군자가 불행하게도 과차(過差)가 조금() 있으면 문견(聞見)하고 그것을 지목(指目)하면서 쉬지() 않거늘 소인은 종일 조악(造惡)하더라도 위연(爲然; 是這樣)을 쓰지() 않음은 그 까닭()이 무엇입니까. 회당이 가로되 군자의 덕은 미옥(美玉)에 비유(比喩)하나니 하(; 옥의 티)가 안에 생겨남이 있으면 반드시 밖으로 나타나는지라() 고로 보는 자가 이상함을 일컬으며 지목하지 않음을 얻지 못하지만 약부(若夫) 소인이란 것은 일용에 짓는 것이 과악(過惡)이 아님이 없거늘 또 어찌() 그것을 말함을 쓰겠는가. 章江集.

 


過差; 失度 過失 差錯

실도, 과실. 차착.

 

선문염송집주 5책 1질로 발간되었습니다 (tistory.com)

 

선문염송집주 5책 1질로 발간되었습니다

2022년 3월 발행. 150부. 5책 1질. 총 4,842쪽, 12.5pt. 4․6배판. 하드. 양장. 정가 60만 원. 한문주석 1만 여 개로 염송본문의 各則을 해석하고 전체를 한글로 번역. 주석의 쪽 수가 본문을 조금 초

pyungsimsa.tistory.com

 

'선림보훈합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림보훈합주 052  (0) 2022.09.24
선림보훈합주 051  (0) 2022.09.23
선림보훈합주 049  (0) 2022.09.23
선림보훈합주 048  (0) 2022.09.22
선림보훈합주 047  (0) 2022.09.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