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림보훈합주

선림보훈합주 177

태화당 2022. 11. 5. 07:44

177 草堂謂如和尙曰 先師晦堂言 稠人廣衆中 賢不肖接踵 以化門廣大 不容*親疎於其間也 惟在少加精選 苟才德合人望者 不可以己之所怒而疎之 苟見識庸常 衆人所惡者 亦不可以己之所愛而親之 如此則賢者自進 不肖者自退 叢林安矣 若夫主者好逞私心 專己喜怒而進退於人 則賢者*緘默 不肖者競進 紀綱紊亂 叢林廢矣 此二者實住持之大體 誠能審而踐之 則近者悅而遠者傳 則何慮道之不行 衲子之不來慕乎疎山石刻

親疎; 愛而近之曰親 惡而遠之曰疎

緘默; 上封也 下不言也 時孔子觀周 入后稷之廟 有金人焉 三緘其口 而銘其背曰 天機不密 四時何行 地機不密 萬物何生 人機不密 萬事何成 此古愼言之人也 又誡人之避纔

 

177 초당(草堂; 善淸)이 여화상(如和尙)에게 일러 가로되 선사(先師) 회당(晦堂; 祖心)이 말씀하되 조인(稠人)의 광중(廣衆) 가운데엔 현()과 불초(不肖)가 접종(接踵)하면서 화문(化門)이 광대해지나니 그 사이에 친소(*親疎)를 용납하지 말아야 한다. 오직 조금 정선(精選)을 가()함이 있어야 하나니 만일() 재덕(才德)이 인망(人望)에 합하는 자라면 자기의 소로(所怒)로써 그를 소홀(疎忽)히 해서는 옳지 못하며 만일() 견식(見識)이 용상(庸常)하여 중인(衆人)이 소오(所惡)하는 자라면 또한 자기의 소애(所愛)로써 그를 친밀함은 옳지 못하다. 이와 같으면 곧 현자(賢者)는 자진(自進)하고 불초자(不肖者)는 자퇴(自退)하여 총림이 안태(安泰)하다. 약부(若夫) 주자(主者)가 사심(私心)을 자부(自負; )함을 좋아해 오로지 자기의 희로(喜怒)로 타인을 진퇴(進退)케 한다면 곧 현자(賢者)는 함묵(*緘默)하고 불초자(不肖者)는 경진(競進)하여 기강(紀綱)이 문란(紊亂)하여 총림이 쇠폐(衰廢)하리라. 2()는 실로 주지의 대체(大體)니 참으로() 능히 살피고 이를 실천한다면 곧 근자(近者)는 희열(喜悅)하고 원자(遠者)는 전달하리니 곧 도의 행해지지 않음과 납자의 내모(來慕)하지 않음을 어찌 염려하리오. 疎山石刻.

親疎; 사랑하면서 가까이 함을 가로되 친()이며 미워하여 멀리함을 가로되 소().

緘默; 상은 봉()이며 하는 불언(不言)이다. 때에 공자가 주()를 관광하다가 후직(后稷)의 묘()에 들어갔다. 금인(金人)이 있었는데 그 입을 3()하였고 그 등에 명(; 새기다)하여 가로되 천기(天機)가 비밀스럽지 않으면 4()가 어찌 행하며 지기(地機)가 비밀스럽지 않으면 만물이 어찌 발생하며 인기(人機)가 비밀스럽지 않으면 만사를 어찌 이루겠는가. 이것은 옛적에 말을 삼간 사람이다. 또 사람의 피참(避讒)을 경계(警戒; )하였다.

 


踵踵; 禪林寶訓筆說中 接踵者 步履相隨也

선림보훈필설중. 접종(接踵)이란 것은 보리(步履; 발걸음)가 상수(相隨)함이다.

 

庸常; 尋常 平庸 平常庸常之才

심상(尋常), 평용(平庸)이니 평상의 용상(庸常)의 재능.

 

若夫; 句首語氣詞 用在句首或段落的開始 表示另提一事 [百度漢語]

구수(句首)의 어기사(語氣詞)니 써서 구수 혹 단락의 개시에 두어 따로 1()를 제기함을 표시함 [백도한어].

 

后稷; 姬姓 名棄 黃帝玄孫 帝嚳嫡長子 母姜嫄 堯舜時期掌管農業之官 周朝始祖 后稷出生於稷山(今山西省稷山縣) 被稱爲稷王(也做稷神或者農神) [百度百科]

희성(姬姓)이며 이름은 기()니 황제(黃帝)의 현손(玄孫)이며 제곡(帝嚳)의 적장자(嫡長子)며 모친은 강원. 요순 시기 농업을 장관한 관리였고 주조(周朝)의 시조임. 후직은 직산(지금의 산서성 직산현)에서 출생했고 피칭(被稱)하여 직왕(稷王; 稷神 혹자는 農神으로 지음)이라 했음 [백도백과].

 

선문염송집주 5책 1질로 발간되었습니다 (tistory.com)

 

선문염송집주 5책 1질로 발간되었습니다

2022년 3월 발행. 150부. 5책 1질. 총 4,842쪽, 12.5pt. 4․6배판. 하드. 양장. 정가 60만 원. 한문주석 1만 여 개로 염송본문의 各則을 해석하고 전체를 한글로 번역. 주석의 쪽 수가 본문을 조금 초과. 가

pyungsimsa.tistory.com

 

'선림보훈합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림보훈합주 179  (0) 2022.11.06
선림보훈합주 178  (0) 2022.11.06
선림보훈합주 176  (0) 2022.11.05
선림보훈합주 175  (0) 2022.11.05
선림보훈합주 174  (0) 2022.1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