行思禪師 生吉州安城劉氏 聞曹溪法席盛化 徑來參禮 遂問曰 當何所務 卽不落階級 師曰 汝曾作什麽來 曰 聖諦亦不爲 師曰 落何階級 曰 聖諦尙不爲 何階級之有 師深器之 令思首衆 一日師謂曰 汝當分化一方 無令斷絕 思旣得法 遂回吉州靑原山 弘法紹化〈諡弘濟禪師〉
행사(行思) 선사(禪師)는 길주(吉州) 안성(安城)에서 출생했으며 유씨(劉氏)다. 조계(曹溪)의 법석(法席)이 성화(盛化)하다 함을 듣고 질러(徑) 와서 참례(參禮)했다. 드디어 문왈(問曰) 마땅히 무엇에 힘쓰는 바라야 곧 계급(階級)에 떨어지지 않겠습니까. 사왈(師曰) 너는 일찍이 무엇(什麽)을 지어 왔느냐. 가로되 성제(聖諦)도 또한 짓지(爲) 않습니다. 사왈 무슨 계급에 떨어지느냐. 가로되 성제도 오히려 짓지 않거늘 무슨 계급이 있겠습니까. 스님이 깊이 그를 법기(法器)로 여겼다. 행사로 하여금 수중(首衆)하게 했다. 어느 날 스님이 일러 가로되 너는 마땅히 일방(一方)에 분화(分化)하여 단절되지 않게 하라. 행사가 이미 득법하자 드디어 길주(吉州) 청원산(靑原山)으로 돌아가 홍법(弘法)하며 소화(紹化; 교화를 잇다)했다. 〈시(諡)는 홍제선사(弘濟禪師)다〉.
行思; (?-740) 唐代僧 吉州安城(江西安福)人 俗姓劉 幼年出家 就六祖慧能學法 與南嶽懷讓竝稱二大弟子 同嗣六祖之法 後住吉州靑原山靜居寺 故號靑原行思 門徒雲集 禪風大振 其流派相對於南嶽下而稱爲靑原下 開元二十八年示寂 僖宗賜諡弘濟禪師 塔名歸眞 [宋高僧傳九 祖堂集三 傳燈錄五 靑原山志略二]
(?-740) 당대승. 길주(吉州) 안성(安城; 강서 安福) 사람이며 속성은 유(劉). 어린 나이에 출가하여 6조 혜능(慧能)에게 나아가 법을 배웠음. 남악회양(南嶽懷讓)과 나란히 이대제자(二大弟子)로 일컬으며 한가지로 6조의 법을 이었음. 후에 길주(吉州)의 청원산(靑原山) 정거사(靜居寺)에 주(住)한지라 고로 호가 청원행사(靑原行思)임. 문도가 운집하고 선풍을 크게 떨쳤으며 그 유파(流派)가 남악하(南嶽下)에 상대하므로 청원하(靑原下)로 일컬음. 개원(開元) 28년에 시적(示寂)했고 희종(僖宗)이 홍제선사(弘濟禪師)란 시호를 주었으며 탑명(塔名)은 귀진(歸眞) [송고승전9. 조당집3. 전등록5. 청원산지략2].
禪師; 修禪定之師也 禪師之稱 不限用於禪宗名德 於天台宗 淨土宗 三階敎等 專習坐禪者 亦稱禪師 玉篇 師 敎人以道者之稱也 法言 師者 人之模範也
선정을 닦는 스님임. 선사란 명칭은 선종의 명덕(名德)에 한정하여 씀이 아니니 천태종ㆍ정토종ㆍ삼계교(三階敎) 등에서 좌선을 오로지 익히는 자를 또한 선사로 일컬음. 옥편 사(師) 도로써 사람을 가르치는 자의 칭호다. 법언(法言) 사(師)란 것은 사람의 모범이다.
吉州; 今江西省吉安府古安縣 吉州東南有行思之道場靑原山淨居寺 另外有無殷所住之禾山 行修所住之南源山 道殷所住之龍須山資國院等
지금의 강서성 길안부 고안현. 길주의 동남에 행사의 도량인 청원산 정거사가 있음. 따로 이외에 무은이 거주했던 바의 화산ㆍ행수가 거주했던 바의 남원산ㆍ도은이 거주했던 바의 용수산 자국원 등이 있음.
什麽; 疑問之辭 如言何也
의문의 사(辭)니 하(何)라고 말함과 같음.
聖諦; 爲聖者所見之諦理 故名聖諦 又聖者正也 爲正眞之諦理 故名聖諦 涅槃經十二曰 苦集滅道 是名四聖諦
성자가 보는 바의 체리(諦理)가 되는지라 고로 명칭이 성제(聖諦)임. 또 성(聖)이란 것은 정(正)이니 정진(正眞)의 체리가 되는지라 고로 이름이 성제임. 열반경12에 가로되 고ㆍ집ㆍ멸ㆍ도 이 이름이 4성제(聖諦)다.
首衆; 首座稱首衆 [象器箋六]
수좌를 일컬어 수중이라 함 [상기전6].
分化; 一分別地實施敎化 二分衛勸化 蓋街坊化主也 此指一
분별지(分別地; 各自地)에서 교화를 실시함. 2. 분위(分衛)하며 권화(勸化)함. 대개 가방화주(街坊化主)임.
諡; 諡號 略稱諡 感念死者之德 所追贈之稱號 上自帝王公卿 下至有德行之人 皆有贈與諡號之情形 通常贈與高僧之諡號有大師號 菩薩號 國師號 禪師號 和尙號 法師號 上人號等
시호(諡號)니 약칭이 시(諡). 죽은 자의 덕을 감념(感念)하여 추증하는 바의 칭호임. 위로 제왕과 공경으로부터 아래로 덕행이 있는 사람에 이르기까지 모두 시호를 증여하는 정형(情形)이 있음. 통상 고승에게 증여하는 시호에 대사호ㆍ보살호ㆍ국사호ㆍ선사호ㆍ화상호ㆍ법사호ㆍ상인호 등이 있음.
'태화당총서 다운로드 21종 파일첨부' 카테고리의 글 목록 (tistory.com)
'태화당총서 다운로드 21종 파일첨부' 카테고리의 글 목록
pyungsimsa.tistory.com
'육조단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경 機緣第七 16 (0) | 2022.12.27 |
---|---|
단경 機緣第七 15 (0) | 2022.12.26 |
단경 機緣第七 13 (1) | 2022.12.26 |
단경 機緣第七 12 (0) | 2022.12.25 |
단경 機緣第七 11 (0) | 2022.1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