師見諸宗難問咸起惡心 多集座下愍而謂曰 學道之人 一切善念惡念應當盡除 無名可名 名於自性 無二之性 是名實性 於實性上建立一切敎門 言下便須自見 諸人聞說 總皆作禮 請事爲師
스님이 보매 제종(諸宗)이 난문(難問)하거나 모두 악심(惡心)을 일으키며 좌하(座下)에 다집(多集)한지라 불쌍히 여겨 일러 가로되 학도(學道)하는 사람은 일체의 선념악념(善念惡念)을 응당 모두 제거해야 한다. 이름으로 가히 이름하지 못함을 자성(自性)이라고 이름하며 무이(無二)의 자성, 이 이름이 실성(實性)이다. 실성상(實性上; 上은 방면을 표시)에 일체의 교문(敎門)을 건립하나니 언하(言下)에 바로 자견(自見)함을 써라(須). 제인이 문설(聞說)하고 모두 다 작례(作禮)하고 봉사(奉事)하며 스승으로 삼기를 청했다.
難問; 提出疑問﹔請敎
의문을 제출하여 가르침을 청함.
'태화당총서 다운로드 21종 파일첨부' 카테고리의 글 목록 (tistory.com)
'태화당총서 다운로드 21종 파일첨부' 카테고리의 글 목록
pyungsimsa.tistory.com
'육조단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경 宣詔第九 02 (0) | 2022.12.31 |
---|---|
단경 宣詔第九 01 (2) | 2022.12.31 |
단경 頓漸第八 06 (0) | 2022.12.30 |
단경 頓漸第八 05 (0) | 2022.12.30 |
단경 頓漸第八 04 (0) | 2022.12.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