黃蘗希運禪師傳心法要
河東裴休集
有大禪師號希運 住洪州高安縣黃蘗山鷲峯下 乃曹溪六祖之嫡孫 百丈之子西堂之姪 獨佩最上乘 離文字之印 唯傳一心更無別法 心體亦空萬緣俱寂 如大日輪升於虛空中照耀 靜無纖埃 證之者無新舊無淺深 說之者不立義解 不立宗主 不開戶牖 直下便是 動念則乖 然後爲本佛 故其言簡其理直其道峻其行孤 四方學徒望山而趨 覩相而悟 往來海衆常千餘人 予會昌二年廉于鍾陵 自山迎至州憩龍興寺 旦夕問道 大中二年廉于宛陵 復禮迎至所部寓開元寺 旦夕受法 退而紀之十得一二 佩爲心印不敢發揚 今恐入神精義不聞於未來 遂出之授門下僧太舟法建 歸舊山之廣唐寺 請長老法衆問 與往日常所親聞同異何如也 時大唐大中十一年十月八日謹記〈自後每段各紀歲月 今刪繁爾〉
대선사(大禪師)가 있으니 법휘(法諱; 法名)는 희운(希運)이며 홍주(洪州) 고안현(高安縣) 황벽산(黃檗山) 취봉(鷲峯) 아래 거주했으니 곧 조계(曹溪) 6조(六祖; 혜능)의 적손(嫡孫; 嫡은 正統을 표시)이며 백장(百丈; 懷海)의 자(子)며 서당(西堂; 智藏)의 질(姪)이다. 홀로(獨) 최상승(最上乘)의, 문자를 여읜 인(印)을 지니고(佩) 오직 일심(一心)을 전하고 다시 별법(別法)이 없다. 심체(心體)도 또한 공(空)했고 만연(萬緣)도 모두(俱) 적(寂)이니 마치 대일륜(虛空)이 허공 중에 올라 조요(照曜)하매 적정(寂靜)하여 섬애(纖埃)도 없음과 같다. 이를 증득한 자는 신구(新舊)가 없고 천심(淺深)도 없고 이를 설하는 자는 의해(義解)를 세우지 않고 종주(宗主)를 세우지 않는다. 호유(戶牖)를 열지 않아도 직하(直下; 卽時)에 바로 이것이며 동념(動念)하면 곧 어그러지나니(乖) 연후에 본불(本佛)이 된다. 고로 그 언사(言詞)는 간명(簡明)하고 그 이치는 정직(正直)하며 그 도는 준엄(峻嚴)하고 그 행은 고절(孤節)한지라 사방의 학도(學徒)가 망산(望山)하며 달렸고(趨) 형상(形相)을 보고 깨달았으니 왕래하는 해중(海衆)이 늘 천여 인이었다. 내가 회창(會昌) 2년(842)에 종릉(鍾陵)을 사찰(査察; 廉은 察)하다가 산으로부터 맞이해 주(州)에 이르렀고 용흥사(龍興寺)에 쉬게(憩) 하면서 단석(旦夕)으로 문도(問道)했다. 대중(大中) 2년(848) 완릉(宛陵)을 사찰(査察; 廉)했는데 다시 예(禮)로 맞이해 소부(所部)에 이르러 개원사(開元寺)에 우거(寓居)케 하고 단석(旦夕)으로 수법(受法)했고 물러나 그것을 기록(紀)했는데 10에 1, 2를 얻었다. 지니며 심인(心印)으로 삼고 감히 발양(發揚)하지 않았는데 여금에 입신(入神)한 정의(精義)가 미래에 알려지지(聞) 않을까 염려(恐)하여 드디어 이것을 꺼내어 문하승(門下僧) 태주법건(太舟法建)에게 수여(授與)하면서 구산(舊山)의 광당사(廣唐寺)로 귀환하여 장로(長老)의 법중(法衆)을 청해 묻되 왕일(往日)에 늘 친문(親聞)하던 바와 더불어 동이(同異)가 어떠합니까 하게 하였다. 당(唐) 대중(大中) 11년(857) 10월 8일 근기(謹記)한다〈自後로 每段에 歲月을 各紀했는데 여금에 刪繁하였다〉.
선문염송집주 5책 1질로 발간되었습니다 (tistory.com)
선문염송집주 5책 1질로 발간되었습니다
2022년 3월 발행. 150부. 5책 1질. 총 4,842쪽, 12.5pt. 4․6배판. 하드. 양장. 정가 40만 원. 할인. 잔본 81질 한문주석 1만 여 개로 염송본문의 各則을 해석하고 전체를 한글로 번역. 주석의 쪽 수가 본문을
pyungsimsa.tistory.com
'전등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등록 권9 전심법요(傳心法要) 03 (0) | 2023.03.30 |
---|---|
전등록 권9 전심법요(傳心法要) 02 (0) | 2023.03.30 |
전등록 권9 공기화상(公畿和尙) (0) | 2023.03.29 |
전등록 권9 고제화상(古堤和尙) (0) | 2023.03.29 |
전등록 권9 금주조(金州操) (0) | 2023.03.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