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開福哲】 宋代臨濟宗僧崇哲 住衡州開福 詳見崇哲
개복철(開福哲) 송대 임제종승 숭철이 형주 개복(개복사)에 주(住)했으니 상세한 것은 숭철(崇哲)을 보라.
【開福賢】 宋代雲門宗僧德賢 住荊南開福寺 詳見德賢
개복현(開福賢) 송대 운문종승 덕현이 형남 개복사에 주(住)했으니 상세한 것은 덕현(德賢)을 보라.
【開封府】 今河南開封
개봉부(開封府) 지금의 하남 개봉.
【開府】 一古代指高級官員(如三公 大將軍 將軍等)成立府署 選置僚屬 二有權開府的官員 三府兵軍職 [百度百科] ▲五燈全書六十三 開府集生余大成居士
개부(開府) 1. 고대에 고급관원(예컨대 삼공ㆍ대장군ㆍ장군 등)이 성립한 부서(府署)를 가리킴. 요속(僚屬)을 선발해 배치했음. 2. 권력이 있는 개부의 관원. 3. 부병(府兵)의 군직(軍職) [백도백과]. ▲오등전서63. 개부(開府) 집생 여대성거사.
【開府儀同三司】 魏晉南北朝時期的一種高級官位 隋唐至元文散官的最高官階 從一品 [百度百科] ▲古尊宿語錄三十五 大隨開山神照禪師語錄 祭文 維乾德元年(九一九) 歲次己卯十月乙未朔十五日己酉 弟子扶天佐命 忠烈功臣 開府儀同三司檢校太尉 太子太傅兼中書令 食邑五千戶嘉王宗壽 謹以香燭茶果之奠 致祭于故神照禪師之靈
개부의동삼사(開府儀同三司) 위진 남북조 시기 일종의 고급관위. 수ㆍ당에서 원에 이르기까지의 문산관(文散官)의 최고 관계(官階)니 종1품 [백도백과]. ▲고존숙어록35 대수개산신조선사어록. 제문. 유건덕 원년(919) 세차기묘 10월 을미 삭(朔) 15일기유 제자 부천좌명 충렬공신 개부의동삼사(開府儀同三司) 검교태위 태자태부겸중서령 식읍 5천 호 가왕(嘉王) 종수(宗壽)가 삼가 향촉 다과의 전(奠)으로 고신조선사의 영(靈)에 제사 드립니다.
【開佛光明】 指雕塑或繪畫佛像 擇日致禮而最後點眼睛 ▲大慧語錄八 江給事請開佛光明 (中略)遂以筆點云 今日還渠舊光彩 碧眸炯炯照塵沙
개불광명(開佛光明) 조소(雕塑) 혹은 회화(繪畫)의 불상에 택일하여 예를 드리고 최후에 점안정(點眼睛; 점안)함을 가리킴. ▲대혜어록8. 강급사의 청으로 개불광명(開佛光明) (중략) 드디어 붓으로 점찍고 이르되 금일 거(渠. 그)의 옛 광채를 되돌려 주니 푸른 눈동자가 형형(炯炯)하여 진사(塵沙)를 비춘다.
자세히 보기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책(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201쪽 (0) | 2019.04.30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200쪽 (0) | 2019.04.30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98쪽 (0) | 2019.04.30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97쪽 (0) | 2019.04.30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96쪽 (0) | 2019.04.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