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改服】 改換敎派門派 稱爲改服 又作更衣 ▲五燈會元十八天童普交 幼颖悟 未冠得度 往南屛聽台敎 因爲檀越修懺摩 有問曰 公之所懺罪 爲自懺耶 爲他懺耶 若自懺罪 罪性何來 若懺他罪 他罪非汝 烏能懺之 師不能對 遂改服遊方 造泐潭
개복(改服) 교파나 문파를 개환(改換)함을 일컬어 개복이라 함. 또 경의(更衣)로 지음. ▲오등회원18 천동보교. 어려서 영오(颖悟)했고 미관(未冠; 성인이 되기 전. 20세 이전)에 득도했다. 남쪽으로 가서 태교(천태교)를 숨어서 들었다. 단월에게 참마(懺摩)를 닦게 함으로 인해 어떤 이가 물어 가로되 공(公)의 참죄하는 것은 자참(自懺)이 되는가, 타참이 되는가. 만약 스스로 참죄한다면 죄성이 어디에서 오며 만약 타인의 죄를 참회한다면 그의 죄이지 네가 아니거늘 어떻게 능히 참죄하겠는가. 스님이 능히 대답하지 못했다. 드디어 개복(改服)하고 유방하다가 늑담으로 나아갔다.
【介福】 大福 ▲萬善同歸集序 凡依律依禪 當資乎介福
개복(介福) 대복. ▲만선동귀집서. 무릇 율에 의하고 선에 의한다면 마땅히 개복(介福)을 도우리라.
【開福寧】 宋代楊岐派僧道寧住潭州開福禪寺 詳見道寧
개복녕(開福寧) 송대 양기파승 도녕이 담주 개복선사에 주(住)했으니 상세한 것은 도녕(道寧)을 보라.
【開福道寧禪師語錄】 二卷 宋代楊岐派僧開福道寧說 善果編 又稱開福寧禪師語錄 開福寧和尙語錄 略稱開福寧語錄 今收錄於卍續藏第一二○冊 輯錄開堂入院拈香法語 上堂 小參 垂示 偈頌 遺誡等 竝於卷首卷末附錄序 疏等文 宋孝宗淳熙六年(1179)重刊
개복도녕선사어록(開福道寧禪師語錄) 2권. 송대 양기파승 개복도녕이 설하고 선과가 편(編)했음. 또 호칭이 개복녕선사어록ㆍ개복녕화상어록이며 약칭이 개복녕어록임. 지금 만속장 제120책에 수록되었음. 개당입원염향법어ㆍ상당ㆍ소참ㆍ수시ㆍ게송ㆍ유계 등과 아울러 권수와 권말의 부록서ㆍ소 등의 글을 집록했으며 송 효종 순희 6년(1179)에 중간(重刊)했음.
【開福寺】 位于湖南省長沙市 五代時楚王馬殷創建 其子馬希範又建會春園等 宋代道寧禪師住此 現寺宇規模宏偉
개복사(開福寺) 호남성 장사시에 위치하며 오대 때 초왕 마은이 창건했으며 그 아들 마희범이 또 회춘원을 건립했음. 송대 도녕선사가 여기에 거주했음. 현재 사우(寺宇)의 규모가 굉위함.
【開福義】 宋代臨濟宗僧守義 住潭州開福寺 詳見守義
개복의(開福義) 송대 임제종승 수의가 담주 개복사에 주(住)했으니 상세한 것은 수의(守義)를 보라.
자세히 보기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책(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200쪽 (0) | 2019.04.30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99쪽 (0) | 2019.04.30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97쪽 (0) | 2019.04.30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96쪽 (0) | 2019.04.30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95쪽 (0) | 2019.04.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