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開顯】 開權顯實之略 ▲惟則語錄九 權實於此開顯 本跡於此發明
개현(開顯) 개권현실의 약칭. ▲유칙어록9. 권실(權實)을 여기에서 개현(開顯)하고 본적(本跡)을 여기에서 발명한다.
) -->
【開化】 敎人開蒙化惡也 ▲五燈全書八十密傳能 師受囑後 一筇淮海 隨緣開化 一言不合 曳杖便行
개화(開化) 사람을 가르쳐 개몽하고 악을 교화함. ▲오등전서80 밀전능. 스님이 부촉을 받은 후 한 지팡이로 회해에서 인연 따라 개화(開化) 했는데 1언이 맞지 않으면 지팡이를 끌고 바로 떠났다.
【開化寺】 位于浙江省杭州市 宋開寶四年(971) 永明延壽應吳越王錢俶之請 爲鎭服錢塘江潮水而建寺 始稱壽寧院
개화사(開化寺) 절강성 항주시에 위치함. 송 개보 4년(971) 영명연수가 오월왕 전숙의 청에 응해 전당강의 조수를 진복(鎭服)하기 위해서 절을 세웠음. 처음의 명칭은 수녕원.
) -->
【改悔】 悔改惡事也 ▲禪林疏語考證一 非一念改悔莫由頓沃于淸凉
개회(改悔) 악한 일을 회개함. ▲선림소어고증1. 일념을 개회(改悔)하지 않으면 청량에 돈옥(頓沃; 문득 적심)할 인유가 없다.
) -->
【開曉】 開蒙明暗 ▲傳燈錄四中條智封 少選開曉 釋然自得
개효(開曉) 명암을 개몽(開蒙)함. ▲전등록4 중조지봉. 오래지 않아 개효(開曉)하고 석연(釋然; 마음이 환하게 풀림)하여 자득했다.
) -->
【蓋勳】 (140-191) 字元固 敦煌郡廣至縣(今甘肅安西縣西南)人 東漢末期名將 [百度百科] ▲祖庭事苑二 句章縣故城在鄞縣西 (中略)見東漢蓋勳傳
개훈(蓋勳) (140-191) 자는 원고며 돈황군 광지현(지금의 감숙 안서현 서남) 사람이니 동한 말기의 명장 [백도백과]. ▲조정사원2. 구장현의 고성은 은현의 서쪽에 있다 (중략) 동한 개훈전(蓋勳傳)을 보라.
【客看客】 臨濟四賓主之一 指妄情濃厚的學人 與法眼不明的禪師相逢 ▲臨濟語錄 或有學人 披枷帶鎖出善知識前 善知識更與安一重枷鎖 學人歡喜 彼此不辨 呼爲客看客
객간객(客看客) 임제 4빈주의 하나. 망정(妄情)이 농후한 학인이 법안이 밝지 못한 선사와 상봉함을 가리킴. ▲임제어록. 혹 어떤 학인이 피가대쇄(披枷帶鎖; 칼을 입고 수갑을 지님)하고 선지식 앞에 나오면 선지식이 다시 한 겹의 가쇄(枷鎖)를 안치해 주매 학인이 환희한다. 피차 분변하지 못함이라 호칭이 객간객(客看客)이 된다.
자세히 보기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책(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226쪽 (0) | 2019.05.01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225쪽 (0) | 2019.05.01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223쪽 (0) | 2019.05.01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222쪽 (0) | 2019.05.01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221쪽 (0) | 2019.05.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