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擧措】 擧 處置動作也 措 安布施爲也 [禪林寶訓音義] ▲禪林寶訓一 黃龍曰 夫人語默擧措 自謂上不欺天 外不欺人 內不欺心 誠可謂之得矣
거조(擧措) 거(擧)는 처치하는 동작이며 조(措)는 안포(安布)하여 시위(施爲)함임 [선림보훈음의]. ▲선림보훈1. 황룡이 가로되 무릇 사람이 어묵(語默)하고 거조(擧措)하면서 스스로 이르기를 위로는 하늘을 속이지 않고 밖으론 사람을 속이지 않고 안으론 마음을 속이지 않는다 한다면 진실로 가히 이를 일러 얻었다 한다.
【據坐】 ①謂禪師坐于法座 坐 通座 ▲臨濟語錄 師臨遷化時 據坐云 吾滅後不得滅却吾正法眼藏 ②一種機鋒施設 禪師坐于法座 而對僧人提問不用言句作答 也無其他動作 ▲五宗錄四洞山 五洩到石頭處云 一言相契卽住 不契卽去 石頭據坐 ▲臨濟語錄 師行脚時到龍光 光上堂 師出問云 不展鋒鋩 如何得勝 光據坐
거좌(據坐) ①이르자면 선사가 법좌에 앉음. 좌(坐)는 좌(座)와 통함. ▲임제어록. 스님이 천화할 때 거좌(據坐)하고 이르되 내가 없어진 후 나의 정법안장을 멸각함을 얻지 말아라. ②일종의 기봉의 시설이니 선사가 법좌에 앉아 승인의 제문(提問)에 대해 언구를 써서 답을 짓지 않으며 또한 기타의 동작이 없음. ▲오종록4 동산. 오설이 석두의 처소에 이르러 이르되 일언에 서로 계합한다면 곧 머물고 계합하지 않으면 곧 가겠습니다. 석두가 거좌(據坐)했다. ▲임제어록. 스님이 행각할 때 용광에 이르렀다. 용광이 상당하자 스님이 나가서 물어 이르되 봉망(鋒鋩)을 펴지 않고 어떻게 이김을 얻겠는가. 광이 거좌(據坐)했다.
) -->
【據座】 同據坐 ▲碧巖錄第二十則 五洩參石頭 先自約曰 若一言相契卽住 不然卽去 石頭據座
거좌(據座) 거좌(據坐)와 같음. ▲벽암록 제20칙. 오설이 석두를 참알했다. 먼저 약속하여 가로되 만약 일언에 서로 계합하면 곧 머물고 그렇지 않으면 가겠습니다. 석두가 거좌(據座)했다.
) -->
【居衆】 身爲僧徒 與禪院大衆共同參禪 稱爲居衆 ▲宗門武庫 太瘤蜀僧 居衆常嘆佛法混濫異見鋒起 乃曰 我參禪若得眞正知見 當不惜口業
거중(居衆) 몸이 승도가 되어 선원의 대중과 함께 공동으로 참선함을 일컬어 거중이라 함. ▲종문무고. 태류는 촉승이다. 거중(居衆)하면서 늘 탄식하되 불법이 혼람(混濫)하여 이견이 봉기(鋒起)한다. 이에 가로되 내가 참선해서 만약 진정한 견해를 얻는다면 마땅히 구업(口業)을 아끼지 않으리라.
자세히 보기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책(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252쪽 (0) | 2019.05.01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251쪽 (0) | 2019.05.01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248-249쪽 (0) | 2019.05.01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247쪽 (0) | 2019.05.01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246쪽 (0) | 2019.05.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