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태화선학대사전 1책(ㄱ)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257쪽

태화당 2019. 5. 1. 14:00

建康普說一卷 日本曹洞宗太源派僧面山瑞方說 本猛等編 詳稱建康面山和尙普說 內容輯錄面山住若狹建康山空印寺之普說 包括坐禪 晩參 禪杖 默照 懺場 面壁 佛祖要機 曹山三墮等十三章 卷首有自序 今收錄於大正藏第八十二冊

건강보설(建康普說) 1. 일본 조동종 태원파승 면산서방(面山瑞方)이 설하고 본맹 등이 편()했음. 상세한 명칭은 건강면산화상보설. 내용은 면산이 야협 건강산 공인사에 주()하면서의 보설을 집록했음. 좌선ㆍ만참ㆍ선장ㆍ묵조ㆍ참장ㆍ면벽ㆍ불조요기ㆍ조산삼타 등 13()을 포괄했음. 권수에 자서가 있고 지금 대정장 제82책에 수록되었음.

 

建康府今江蘇南京 爲南宋時設 爲東南重鎭 一度作爲行都 是僅次於臨安的重要軍事和政治中心 [百度百科]

강부(建康府) 지금의 강소 남경이니 남송 대 설립했으며 동남의 중진(重鎭)이 됨. 한 차례 행도(行都)가 되었음. 이는 겨우 임안의 중요한 군사와 정치의 중심에서 겨우 버금임 [백도백과].

 

件件每件 件 量詞 虛堂語錄二 僧云 布袋向鬧裡打開 件件拈起云 看看 此意如何

건건(件件) 매 건. 건은 양사. 허당어록2. 중이 이르되 포대가 시끄러운 (시장) 속을 향해 타개(打開; )하여 건건(件件)을 집어 일으키고 이르되 보아라, 보아라, 했으니 이 뜻이 무엇입니까.

 

乾乾自强不息貌 敬愼貌 禪林疏語考證一 易乾卦 君子終日乾乾 夕惕若() 禪林疏語考證一 專效僕僕之勞 庶表乾乾之敬

건건(乾乾) 자강(自强; 스스로 가다듬어 힘씀)하며 쉬지 않는 모양. 공경하고 삼가는 모양. 선림소어고증1. 역 건괘(乾卦) 군자는 종일 건건(乾乾)하고 밤에는 근심이 려(; 는 탈자라 보충. 곧 물 가 등 위태한 곳에 처함)와 같다. 선림소어고증1. 오로지 복복(僕僕)의 노력을 본받아 겨우 건건(乾乾)의 공경을 표합니다.

 

乾乾湜淸代臨濟宗僧 浮石通賢法嗣 住吳陵三塘 [五燈全書七十七]

건건식(乾乾湜) 청대 임제종승. 부석통현의 법사. 오릉 삼당에 거주했음 [오등전서77].

 

乾乾淨淨乾淨的疊詞 沒有塵土 無汙染 五燈全書六十二三宜明盂 自然肚裏乾乾淨淨 無一字可吐

건정정(乾乾淨淨) 건정(乾淨)의 첩사(疊詞). 진토가 있지 않고 오염이 없음. 오등전서62 삼의명우. 자연 뱃속이 건건정정(乾乾淨淨)하여 가히 토할 한 글자도 없다.



자세히 보기

http://blog.daum.net/pyungsimsa/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