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태화선학대사전 1책(ㄱ)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259쪽

태화당 2019. 5. 1. 14:05

建極建立中正之道 五燈全書奏疏 聖學恒新 撫萬邦而建極

건극(建極) 중도의 도를 건립함. 오등전서주소. 성학(聖學)이 항상 새로워지고 만방을 무마하여 건극(建極)하다.

) --> 

騫旗騫 通搴 拔取也 拔取敵旗 形容勇猛善戰 瞎堂慧遠廣錄一 騫旗誅將 突騎斬關

건기(騫旗) ()은 건()과 통함. 뽑아 취함임. 적기(敵旗)를 뽑아 취함이니 용맹하게 잘 싸움을 형용. 할당혜원광록1. 기를 뽑고(騫旗) 장수를 죽이고 돌기(突騎: 적진을 향하여 돌진하는 기병)가 관문을 참하다.

) --> 

愆期失約 誤期 列祖提綱錄三恕中慍 甘雨愆期 田疇龜拆

(愆期) 실약(失約; 약속에 다다르지 못함). 오기(誤期; 규정의 기한을 놓침). 열조제강록3 서중온. 감우(甘雨)가 건기(愆期)하니 밭두둑이 균탁(龜拆; 거북 등처럼 터짐)하다.

) --> 

鍵畿銓淸代臨濟宗僧 字鍵畿 無礙行徹法嗣 住吉州耽源山 [五燈全書九十九 正源略集補遺]

건기전(鍵畿銓) 청대 임제종승. 자가 건기며 무애행철의 법사. 길주 탐원산에 거주했음 [오등전서99. 정원약집보유].

) --> 

建寧今福建建甌 普燈錄十九寒巖慧升 建寧人也

건녕(建寧) 지금의 복건 건구. 보등록19 한암혜승. 건녕 사람이다.

) --> 

建寧府地處福建省北部 南宋高宗紹興三十二年(1162) 升建州爲建寧府 元世祖至元元年(1264) 隸屬江浙行中書省杭州 十五年 改爲建寧路 屬福州行中書省 置錄事司 十七年 改爲建寧路總管府 順帝至正二十二年(1362) 置建寧分省 明太祖洪武元年(1368) 罷錄事司恢復建寧府 淸承明制 公元一九一三年 廢建寧府 [百度百科]

건녕부(建寧府) 땅이 복건성 북부에 처함. 남송 고종 소흥 32(1162) 건주를 승격하여 건녕부로 삼았음. 원 세조 지원 원년(1264) 절강의 행중서성인 항주에 예속되었음. 15년 바꾸어 건녕로라 했으며 복주의 행중서성에 속했으며 녹사사(錄事司)를 두었음. 17년 고쳐 건녕로 총관부라 했음. 순제 지정 22(1362) 건녕 분성을 설치했음. 명 태조 홍무 원년(1368) 녹사사를 파하고 건녕부를 회복했음. 청은 명의 제도를 승계했음. 공원 1913년 건녕부를 폐지했음 [백도백과].



자세히 보기

http://blog.daum.net/pyungsimsa/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