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虔州】 今江西省贛縣
건주(虔州) 지금의 강서성 공현.
) -->
【建州】 今福建省建甌
건주(建州) 지금의 복건성 건구.
) -->
【虔州微】 唐代西堂智藏法嗣處微 虔州(江西贛州)人 [傳燈錄九]
건주미(虔州微) 당대 서당지장의 법사인 처미니 건주(강서 공주) 사람 [전등록9].
) -->
【建州弘釋錄】 二卷 明代僧永覺元賢編 本書所據典籍 有景德傳燈錄 五燈會元 羅湖野錄 高僧傳等三十餘種 主要集錄唐 五代 宋 元 明 各代出生於建州(今之福建省) 或開法顯化於建州之禪師七十七人之行事與機緣語句 內容分爲達本 顯化 崇德 輔敎四科 今收錄於卍續藏第一四七冊
건주홍석록(建州弘釋錄) 2권. 명대승 영각원현(永覺元賢)이 편(編)했음. 본서의 의거한 바 전적에 경덕전등록ㆍ오등회원ㆍ나호야록ㆍ고승전 등 30여 종이 있음. 당ㆍ오대ㆍ송ㆍ원ㆍ명의 각 시대에 건주(建州; 지금의 복건성)에서 출생하거나 혹은 건주에서 개법하고 현화(顯化)한 선사 77인의 행사(行事)와 기연의 어구를 주요하게 집록했음. 내용은 달본ㆍ현화ㆍ숭덕ㆍ보교의 4과로 나누었음. 지금 만속장 제147책에 수록되었음.
) -->
【乾竹絞汁】 企圖在乾枯的竹竿上絞出汁水來 比喩徒勞無益 ▲無門關習翁序 强添幾箇注脚 大似笠上頂笠 硬要習翁贊揚 又是乾竹絞汁
건죽교즙(乾竹絞汁) 건고한 죽간 상에 있으면서 즙수(汁水)를 짜내려고 기도함이니 헛되이 수고만 하고 무익함에 비유함. ▲무문관 습옹서. 억지로 몇 개의 주각을 더함은 삿갓 위에 삿갓을 임과 매우 흡사하거늘 강경하게 습옹의 찬양을 요구한다면 또 이는 건죽교즙(乾竹絞汁)이다.
) -->
【建中靖國續燈錄】 三十卷 另有目錄三卷 略稱續燈錄 宋代僧佛國惟白編 收於卍續藏第一三六冊 書成於徽宗建中靖國元年(1101) 故冠以此年號 本書繼景德傳燈錄 天聖廣燈錄之後 依禪門法脈相續之次第 編列師資略歷 機緣語句 古則公案 偈頌等而成 全書大別爲正宗 對機 拈古 頌古 偈頌等五門 而於臨濟 雲門諸師之語所錄較詳備
건중정국속등록(建中靖國續燈錄) 30권. 따로 목록 3권이 있음. 약칭이 속등록임. 송대승 불국유백(佛國惟白)이 편(編)했고 만속장 제136책에 수록되었음. 책이 휘종 건중정국 원년(1101)에 이루어졌으므로 고로 이 연호로써 씌웠음. 본서는 경덕전등록과 천성광등록의 뒤를 승계해 선문 법맥의 상속의 차제에 의해 사자(師資)의 약력과 기연의 어구 고칙의 게송 등을 편열(編列)해 이루었음. 전서를 크게 나누면 정종ㆍ기연ㆍ염고ㆍ송고ㆍ게송 등의 5문이 되며 임제와 운문의 여러 스님의 말씀을 기록한 바가 조금 상세히 갖추어졌음.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책(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277쪽 (0) | 2019.05.01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276쪽 (0) | 2019.05.01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274쪽 (0) | 2019.05.01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273쪽 (0) | 2019.05.01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272쪽 (0) | 2019.05.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