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犍地】 見犍稚 ▲百丈淸規證義記九犍椎 又諸律論 並作犍槌 或作犍椎 槌 音地 羯磨疏中 直云犍地 故五分律云 隨有瓦木銅鐵 鳴者皆名犍地
건지(犍地) 건치(犍稚)를 보라. ▲백장청규증의기9 건추(犍椎). 또 여러 율과 논에 모두 건추(犍槌)로 짓거나 혹은 건추(犍椎)로 지었음. 추(槌)는 음이 지니 갈마소 중에 바로 이르기를 건지(犍地)라 했음. 고로 오분율에 이르되 와목동철(瓦木銅鐵)의 있음을 따라 울리는 것은 다 이름이 건지(犍地)다.
) -->
【乾鑿度】 周易乾鑿度 是西漢末緯書易緯中的一篇 又稱易緯乾鑿度 簡稱乾鑿度 乾爲天 度是路 乾鑿度有開辟通向天上道路之意 [百度百科] ▲祖庭事苑七 乾鑿度云 夫有形者 生於無形 則乾坤安從而生 故有太易 有太初 有太始 有太素 有太極(云云)
건착도(乾鑿度) 주역건착도니 이것은 서한 말의 위서역위(緯書易緯) 중의 1편임. 또 명칭이 역위건착도며 간칭이 건착도임. 건(乾)은 하늘이 되고 도(度)는 이 길이니 건착도는 개벽(開辟)하여 천상의 도로로 통향(通向)함의 뜻임 [백도백과]. ▲조정사원7. 건착도(乾鑿度)에 이르되 무릇 유형이란 것은 무형에서 나왔으니 곧 건곤이 편안히 좇아서 나온다. 고로 태역(太易)이 있고 태초(太初)가 있고 태시(太始)가 있고 태소(太素)가 있고 태극(太極)이 있다 (운운).
) -->
【建昌軍】 宋太平興國三年(979) 設建昌軍 軍治在南城(江西南城縣) 元世祖至元十四年(1277) 改建昌軍爲建昌路 明太祖洪武二年(1369) 改建昌路爲肇昌府 後改肇昌府爲建昌府 [百度百科]
건창군(建昌軍) 송 태평흥국 3년(979) 건창군을 설립했음. 군의 치소(治所)는 남성(강서 남성현)에 있음. 원세조 지원 14년(1277) 건창군을 고쳐 건창로라 했으며 명 태조 홍무 2년(1369) 건창로를 고쳐 조창부라 했음. 후에 조창부를 고쳐 건창부라 했음 [백도백과].
) -->
【建昌府】 元世祖至元十四年(1277) 改建昌軍爲建昌路 明太祖洪武二年(1369) 改建昌路爲肇昌府 尋改肇昌府爲建昌府 府治南城(在今江西省南城縣) 公元一九一三年廢 [百度百科]
건창부(建昌府) 원세조 지원 14년(1277) 건창군을 고쳐 건창로라 했으며 명 태조 홍무 2년(1369) 건창로를 고쳐 조창부라 했음. 이윽고 조창부를 고쳐 건창부라 했으며 부치(府治; 부의 치소)는 남성(南城; 지금의 강서성 남성현에 있었음). 공원 1913년 폐지했음 [백도백과].
자세히 보기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책(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278쪽 (0) | 2019.05.01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277쪽 (0) | 2019.05.01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275쪽 (0) | 2019.05.01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274쪽 (0) | 2019.05.01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273쪽 (0) | 2019.05.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