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태화선학대사전 1책(ㄱ)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281쪽

태화당 2019. 5. 1. 18:22

祖堂集十一保福 有時上堂云 夜來還有悟底摩 乞个消息 不悟底摩 乞个消息 五燈會元二 明州布袋 師曰 汝不是這箇人 曰 如何是這箇人 師曰 乞我一文錢

() 주다. 조당집11 보복. 어떤 때 상당해 이르되 밤에 도리어 깨침이 있는가, 소식을 주게나(). 깨치지 못했는가, 소식을 주게나. 오등회원2 명주포대. 스님이 가로되 너는 이 저개(這箇)의 사람이 아니다. 가로되 무엇이 이 저개의 사람입니까. 스님이 가로되 나에게 1()의 돈을 주게나().

) --> 

乞丐貧困乞物於人者 丐亦乞也 緇門警訓六長蘆龜鏡文 爲衆僧乞丐故有街坊化主

걸개(乞丐) 빈곤하여 사람에게 재물을 구걸하는 것. ()도 또한 걸(). 치문경훈6 장로귀경문. 중승을 위해 걸개(乞丐)하는 고로 가방화주가 있다.

) --> 

傑斗其義有二 一比喩黠慧狡猾之徒的倔傲爭鬥 二指出類拔萃之人物 月林師觀語錄 自讚 者村叟能傑斗 踞胡床一不守 臨機拶著火星飛 驚起須彌顚倒走

걸두(傑斗) 그 뜻에 둘이 있음. 1. 힐혜(黠慧; 약은 지혜)와 교활한 무리의 고집과 오만으로 쟁투함에 비유함. 2. 무리를 뛰어난 발췌의 인물을 가리킴. 월림사관어록. 자찬(自讚) 이 촌 늙은이가 걸두(傑斗)에 능하나니/ 호상(胡床)에 걸터앉아 하나도 지키지 않는다/ 임기하여 찰착(拶著; 핍박)하매 화성(火星)이 날아/ 수미를 경기(驚起)하여 거꾸로 달리게 한다.

) --> 

乞嘹舌頭卽吉了舌頭 對不明心地 只知背誦機語者的譏斥語 古尊宿語錄十五雲門匡眞 問 承古有言 一塵徧含一切塵 如何是一塵 師云 乞嘹舌頭 更將一問來

걸료설두(乞嘹舌頭) 즉 길료설두(吉了舌頭)니 심지를 밝히지 못하고 다만 기어(機語)를 배송(背誦)하는 자에 대해 나무라며 배척하는 말. 고존숙어록15 운문광진. 묻되 듣건대() 고인이 말씀이 있어 한 티끌이 일체의 티끌을 머금었다 했습니다. 무엇이 이 한 티끌입니까. 스님이 이르되 걸료설두(乞嘹舌頭), 다시 한 물음을 가져오너라.

) --> 

傑峰愚元代楊岐派僧世愚 字傑峰 詳見世愚

걸봉우(傑峰愚) 원대 양기파승 세우의 자가 걸봉이니 상세한 것은 세우(世愚)를 보라.

) --> 

乞士比丘三義之一 比丘絶一切生業 乞食於人 以資色身 故曰乞士 宗寶道獨語錄四 唐言乞士 梵語苾蒭

걸사(乞士) 비구의 세 뜻의 하나. 비구는 일체의 생업을 끊고 타인에게 걸식하여 색신을 도우므로 고로 가로되 걸사임. 종보도독어록4. 당나라 말로 걸사(乞士)는 범어로 필추(苾蒭).

) --> 


자세히 보기

http://blog.daum.net/pyungsimsa/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