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結業】 締結惡業 ▲聯燈會要三惠忠國師 且殺有情 卽結業互酬
결업(結業) 악업을 체결. ▲연등회요3 혜충국사. 또 유정을 죽이면 곧 결업(結業)하여 서로 갚는다.
) -->
【結緣】 指爲他人作善事 締結善因緣 ▲宗門武庫 時湛堂爲座元 問淵(惠淵)曰 公去如何住持 淵曰 某無福 當與一切人結緣 自負栲栳 打街供衆
결연(結緣) 타인을 위해 착한 일을 짓거나 착한 인연을 체결함을 가리킴. ▲종문무고. 때에 담당이 좌원(座元)이 되었다. 연(惠淵)에게 물어 가로되 공(公)은 가서 어떻게 주지하려는가. 혜연이 가로되 모(某)는 복이 없으므로 마땅히 일체의 사람들과 결연(結緣)하고 스스로 고로(栲栳; 바구니. 고리)를 지고 타가(打街; 街巷에 있으면서 乞化)하여 대중을 공양하겠습니다.
) -->
【結緣諷經】 象器箋十三云 敕修淸規開山歷代祖忌云 或鄕人或江湖擧呪 解者曰 結緣諷經也
결연풍경(結緣諷經) 상기전13에 이르되 칙수청규 개산역대조기에 이르기를 혹 향인이나 혹 강호의 거주(擧呪)라 했는데 해석하는 자가 가로되 결연의 풍경(結緣諷經)이다.
【決疑】 祛除疑惑 究明道法 ▲敦煌本壇經 又有一僧名法達 常誦法華經七年 心迷不知正法之處 經上有疑 大師智惠廣大 願爲決疑
결의(決疑) 의혹을 거제(祛除; 제거)하여 도법을 구명함. ▲돈황본단경. 또 한 중이 있었으니 이름이 법달이다. 늘 법화경을 외우기 7년이었으나 마음이 미혹하여 정법의 처소를 알지 못했고 경상(經上)에 의심이 있었다. 대사는 지혜가 광대하시니 원컨대 결의(決疑)하십시오.
) -->
【結子】 植物結實 ▲五燈全書一百四別傳續 看取拄杖花開 直得燈籠夜半結子
결자(結子) 식물의 결실. ▲오등전서104 별전속. 간취(看取)하라, 주장자에 꽃이 피더니 바로 등롱이 야반에 결자(結子)를 얻었다.
자세히 보기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책(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344쪽 (0) | 2019.05.02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343쪽 (0) | 2019.05.02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341쪽 (0) | 2019.05.02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340쪽 (0) | 2019.05.02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339쪽 (0) | 2019.05.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