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태화선학대사전 1책(ㄱ)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345쪽

태화당 2019. 5. 2. 16:11

結草禪林疏語考證一 結草 左傳曰 晉魏顆 武子之子 初武子有嬖妾無子 武子疾命顆曰必嫁是 疾病則曰必以爲殉 及卒 顆嫁之曰 疾病則亂 吾從其治也 及敗秦師于輔氏 獲杜回 秦之力人也 顆見老人結草以亢杜回 杜回躓而顚故獲之 夜夢之曰 余而所嫁婦人之父也 爾用先人之治命 余是以報 禪林疏語考證一 三尊覆育 思結草而奚從

결초(結草) 선림소어고증1. 결초(結草) 좌전에 가로되 진()의 위과(魏顆)는 무자(武子)의 아들이다. 처음에 무자는 사랑하는 첩이 있었으나 자식이 없었다. 무자가 질병에 걸리자 위과에게 명령하되 반드시 시집보냄이 옳다. 병이 급하자 곧 가로되 반드시 순장(殉葬)하라. 그리고 죽었다. 위과가 그를 시집보내며 가로되 병이 급함은 곧 혼란함이니 내가 그 정도(正道; )를 따른다. 그리고 진()나라 군사를 보지(輔氏; 지금의 섬서 大荔縣)에서 패퇴시키고 두회(杜回)를 잡았으니 진나라의 역인(力人)이다. 위과가 보매 노인이 결초(結草)하여 두회와 겨루었는데 두회가 넘어지면서 뒤집힌지라 고로 그를 잡았다. 밤에 꿈을 꾸었는데 가로되 나는 자네()가 시집보낸 부인의 아버지다. 네가 선인(先人)의 치명(治命; 운명할 무렵에 맑은 정신으로 하는 유언)을 썼으므로 내가 이에 보은한다. 선림소어고증1. 3()이 부육(覆育)하니 결초(結草)를 생각하매 어찌 따라가리오.

) --> 

缺齒道士指中國禪宗初祖菩提達摩 虛堂語錄八 缺齒道士 噀水書符 斷臂仙人 指空揑訣

결치도사(缺齒道士) 중국 선종 초조인 보리달마를 가리킴. 허당어록8. 결치도사(缺齒道士)가 물을 뿜어 부적을 쓰고 단비선인(斷臂仙人)이 허공을 가리키며 비결을 날조하다.

) --> 

缺齒老漢指中國禪宗初祖菩提達摩 列祖提綱錄二十七南石琇 黃面瞿曇何煩出世 缺齒老漢安用西來

결치로한(缺齒老漢) 중국 선종 초조인 보리달마를 가리킴. 열조제강록27 남석수. 황면구담은 어찌 번거롭게 출세했으며 결치노한(缺齒老漢)은 어찌하여 서쪽에서 옴을 썼는가.



자세히 보기

http://blog.daum.net/pyungsimsa/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