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結解】 結制與解制 ▲環溪惟一語錄上 解制上堂 一結一切結 一解一切解 結解兩忘 通身瀟洒
결해(結解) 결제와 해제. ▲환계유일어록상. 해제에 상당. 한 번 결하면 일체를 결하고 한 번 해하면 일체를 해한다. 결해(結解)를 둘 다 잊어야 온몸이 소쇄하다.
) -->
【鉗鍵】 啓發 啓悟 ▲圓悟語錄八 竪起拳云 還見麽 諸佛以之出世 祖師以之西來 歷代宗師以之接物利生 天下老師以之鉗鍵衲子
겸건(鉗鍵) 계발. 계오. ▲원오어록8. 주먹을 세워 일으키고 이르되 도리어 보느냐. 제불이 이것을 써서 출세하고 조사가 이것을 써서 서래하고 역대 종사가 이것을 써서 접물이생(接物利生)하고 천하 노사가 이것을 써서 납자를 겸건(鉗鍵)한다.
) -->
【鉗結】 使鉗口結舌不敢言 ▲祖堂集五德山 師有時謂衆曰 汝等諸方 更誰敢銘邈 有摩 出來 吾要識汝 聞此語者 惕慄鉗結 無敢當對
겸결(鉗結) 겸구결설(鉗口結舌; 입을 다물음)하여 감히 말을 못하게 함. ▲조당집5덕산. 스님이 어떤 때 대중에게 일러 가로되 너희 등 제방이 다시 누가 감히 명막(銘邈. 새겨서 본뜨다)하겠는가. 있는가, 나오너라. 내가 너희를 알고자 한다. 이 말을 들은 자가 척률(惕慄; 전전긍긍)하며 겸결(鉗結)하고 감히 당대(當對)함이 없었다.
) -->
【慊慊然】 慊 怨恨 不滿 然 助詞 ▲虛堂語錄五 五逆聞雷慊慊然 尋常爭敢與人宣
겸겸연(慊慊然) 겸(慊)은 원한, 불만. 연은 조사. ▲허당어록5. 5역(逆)이 우레를 들으면 겸겸연(慊慊然)하거늘 심상(尋常)에 어찌 감히 사람들에게 베풀어 주겠는가.
【鉗口】 緘口 鉗 閉也 緘也 ▲五家正宗贊二南堂靜 子胡結舌 老僧鉗口
겸구(鉗口) 함구. 겸은 닫음이며 봉함(封緘)임. ▲오가정종찬2 남당정. 자호가 결설(結舌)하고 노승이 겸구(鉗口)하다.
) -->
【兼帶語】 曹山元證語錄云 作家中不無言語 不涉有語無語 這箇喚作兼帶語 全無的的也
겸대어(兼帶語) 조산원증어록에 이르되 작가 중에 언어가 없지 않으나 유어와 무어에 건너지 않나니 이것을 겸대어(兼帶語)라고 불러 짓는다. 온통 적적(的的; 명백한 모양)함이 없다.
자세히 보기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책(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349쪽 (0) | 2019.05.02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348쪽 (0) | 2019.05.02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346쪽 (0) | 2019.05.02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345쪽 (0) | 2019.05.02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344쪽 (0) | 2019.05.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