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敲冰求火】 指徒勞無益之事 ▲傳燈錄十一國淸院奉 問 十二時中如何降伏其心 師曰 敲氷求火 論劫不逢
고빙구화(敲冰求火) 헛수고만 하고 이익이 없는 일을 가리킴. ▲전등록11 국청원봉. 묻되 12시 중에 어떻게 그 마음을 항복시킵니까. 스님이 가로되 얼음을 두드려 불을 구한다면(敲氷求火) 논겁(論劫)에도 만나지 못한다.
) -->
【高士】 高尙之士 又菩薩之舊譯 三敎指歸二曰 菩薩 古維摩經翻高士 ▲續古尊宿語要一死心新 說時七顚八倒 默時落二落三 爲報五湖高士 心王自在休參
고사(高士) 고상한 사내. 또 보살의 구역임. 삼교지귀2에 가로되 보살 고유마경에선 고사(高士)로 번역했다. ▲속고존숙어요1 사심신. 설할 땐 칠전팔도며/ 침묵할 땐 낙이낙삼(落二落三)이다/ 5호(湖)의 고사(高士)에게 알리노니/ 심왕이 자재하므로 참구를 그만두어라.
【古寺】 唐代僧 馬祖道一法嗣 [傳燈錄八 聯燈會要五]
고사(古寺) 당대승. 마조도일의 법사 [전등록8. 연등회요5].
) -->
【告辭】 辭 告別 ▲六祖壇經 玄覺方具威儀禮拜 須臾告辭 師曰 返太速乎 曰 本自非動 豈有速耶
고사(告辭) 사(辭)는 고별. ▲육조단경 현각이 비로소 위의을 갖추고 예배했다. 수유에 고사(告辭)하자 스님이 가로되 도리어 너무 신속하구나. 가로되 본래 스스로 움직임이 아니거늘 어찌 신속이 있겠습니까.
) -->
【庫司】 一寺院之庫房 二指寺院中司會計之事的僧人 ▲大慧語錄三十 所有庫司財穀 分付知因識果知事 分司列局令掌之 ▲敕修淸規一善月 預先一日 維那令堂司行者覆住持 報庫司 掛善月牌于殿門前
고사(庫司) 1. 사원의 고방. 2. 사원 중 회계의 일을 맡은 승인을 가리킴. ▲대혜어록30. 소유한 고사(庫司)의 재물과 곡식은 인을 알고 과를 아는 지사에게 분부하고 분사열국(分司列局)에서 그것을 관장하게 하라. ▲칙수청규1 선월. 미리 하루 앞에 유나가 당사행자를 시켜 주지에게 알리고 고사(庫司)에게 알려 전문(殿門) 앞에 선월패(善月牌)를 걸게 한다.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책(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508쪽 (0) | 2019.05.04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507쪽 (0) | 2019.05.04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505쪽 (0) | 2019.05.04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504쪽 (0) | 2019.05.04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503쪽 (0) | 2019.05.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