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태화선학대사전 1책(ㄱ)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3쪽

태화당 2019. 4. 28. 09:16

加減乘除算術的四則運算 空谷集第八十則 攝末歸本 任伊加減乘除

가감승제(加減乘除) 산술의 네 가지(더하기ㆍ빼기ㆍ곱하기ㆍ나누기) 법칙의 운산(運算). 공곡집 제80. 말단을 거두어 근본으로 귀납(歸納)함은 너의 가감승제(加減乘除)하는 대로 맡긴다.

 

駕車駕 駕駛 如駕車 駕船 駕飛機 正字通 駕 馳也 五燈會元三南嶽懷讓 如牛駕車 車若不行 打車卽是 打牛卽是

가거(駕車) ()는 부리어 달림(駕駛)이니 예컨대() 수레를 부림ㆍ배를 부림ㆍ비행기(飛機)를 부림. 정자통 가() 달림이다(). 오등회원3 남악회양. 예컨대() 소로 수레를 부리는데(駕車) 수레가 만약 가지 않는다면 수레를 때림이 곧 옳으냐, 소를 때림이 곧 옳으냐.



歌偈歌與偈 傳燈錄二十六齊雲遇臻 其諸歌偈 皆觸事而作 三百餘首流行

가게(歌偈) 가와 게. 전등록26 제운우진. 그의 여러 가게(歌偈)는 모두 일에 부닥쳐 지었는데 3백여 수가 유행한다.

 

駕肩接迹形容來人很多 絡繹不絶 駕肩 肩疊肩 五燈會元七天皇道悟 後卜荊州當陽紫陵山 學徒駕肩接迹 都人士女 向風而至

가견접적(駕肩接迹) 왕래인이 매우 많아 이어져 끊기지 않음을 형용. 가견(駕肩)은 어깨와 어깨가 겹침. 오등회원7 천황도오. 후에 형주 당양의 자릉산에 복거(卜居)했는데 학도가 가견접적(駕肩接迹)하여 도읍 사람의 사녀(士女)가 도풍을 향해 이르렀다.

 

可瓊宋代雲門宗僧 德山緣密法嗣 住澧州藥山 遷江陵延壽 [傳燈錄二十四 五燈會元十五]

가경(可瓊) 송대 운문종승. 덕산연밀의 법사. 예주 약산에 거주했다가 강릉의 연수로 옮겼음 [전등록24. 오등회원15].

 

家計家産 家業 五燈會元十四廣德義 蕩子無家計 飄蓬不自知

가계(家計) 가산. 가업. 오등회원14 광덕의. 탕자가 가계(家計)가 없이 표봉(飄蓬; 나부끼는 쑥)하면서 스스로 알지 못한다.


자세히 보기

http://blog.daum.net/pyungsimsa/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