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古水源】 淸代臨濟宗僧 字古水 鐵關行能法嗣 住舒城桐嵓 [五燈全書九十三]
고수원(古水源) 청대 임제종승. 자가 고수며 철관행능의 법사며 서성 동암에 주(住)했음 [오등전서93].
) -->
【枯樹子】 枯樹 子 後綴 ▲聯燈會要七大潙靈祐 師與仰山行次 師指枯樹云 前頭是甚麽 仰云 枯樹子
고수자(枯樹子) 고수(枯樹)니 자는 후철. ▲연등회요7 대위영우. 스님이 앙산과 함께 가던 차에 스님이 고수를 가리키며 이르되 전두에 이 무엇인가. 앙이 이르되 고수자(枯樹子)입니다.
) -->
【古宿尊禪師語錄】 六卷 淸代臨濟宗僧古宿胡尊說 明圓等編 康熙二十五年(1686)刊行 卷首載有序文三篇 卷一二 住鄧州丹霞禪寺 襄州洞山峴石禪寺 河東靈巖禪寺 上黨聖泉禪寺 高平佛掌禪寺之語錄 卷三 住太原紅溝白雲禪寺語錄 機緣 聯芳 拈古 頌古 卷四 佛事 書問 歌疏 像讚 卷五 雜偈 雜詠 山居雜律 五言古 七言古 卷六 五言律 七言律 五言絶 七言絶 行實 今收錄於嘉興藏第三十七冊
고숙존선사어록(古宿尊禪師語錄) 6권. 청대 임제종승 고숙호존(古宿胡尊)이 설하고 명원 등이 편(編)했으며 강희 25년(1686) 간행했음. 권수에 서문 3편이 실려 있음. 권1, 2는 등주 단하선사ㆍ양주 동산현 석선사ㆍ상당 성천선사ㆍ고평 불장선사에 주(住)하면서의 어록. 권3은 태원 홍구의 백운선사에 주(住)하면서의 어록과 기연ㆍ연방ㆍ염고ㆍ송고. 권4는 불사ㆍ서문ㆍ가소ㆍ상찬. 권5는 잡게ㆍ잡영ㆍ산거잡률ㆍ5언고(言古)ㆍ7언고(言古). 권6은 5언율ㆍ7언율ㆍ5언절ㆍ7언절ㆍ행실. 지금 가흥장 제37책에 수록되었음.
) -->
【鼓唇搖舌】 又作鼓脣搖舌 形容講說議論的樣子 多合貶義 唇 通脣 ▲列祖提綱錄二十二愚庵及 刮龜毛於鐵牛背上 朝打三千 截兔角於石女腰邊 暮打八百 指東畫西 皷唇搖舌 且居門外
고순요설(鼓唇搖舌) 또 고순요설(鼓脣搖舌)로 지음. 강설하고 의논하는 양자(樣子; 모양)를 형용. 다분히 폄의를 함유했음. 순(唇)은 순(脣)과 통함. ▲열조제강록22 우암급. 귀모(龜毛; 거북의 털)를 철우의 등 위에서 긁더라도 아침에 3천을 때리고 토각(兔角; 토끼의 뿔)을 석녀의 허리 가에서 끊더라도 저녁에 8백을 때린다. 동을 가리키고 서를 그으며 입술을 두드리고 혀를 움직임(皷唇搖舌)은 다만 문밖에 거처함이다.
) -->
【袴褶】 服裝名 上穿褶 下著褲 外不加裘裳 故稱 名起於漢末 [百度漢語] ▲五燈會元二嵩嶽元珪 一日 有異人 峩冠袴褶而至 從者極多
고습(袴褶) 복장의 이름이니 위는 주름 옷을 입고 아래는 바지를 입고 밖에 갖옷의 의상을 더하지 않는지라 고로 일컬음. 명칭이 한말에 일어났음 [백도한어]. ▲오등회원2 숭악원규. 어느 날 어떤 이인(異人)이 높은 관에 고습(袴褶)으로 이르렀는데 종자(從者)가 극히 많았다.
자세히 보기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책(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519쪽 (0) | 2019.05.04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518쪽 (0) | 2019.05.04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516쪽 (0) | 2019.05.04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515쪽 (0) | 2019.05.04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514쪽 (0) | 2019.05.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