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태화선학대사전 1책(ㄱ)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518쪽

태화당 2019. 5. 4. 15:49

高僧德高之僧 禪林寶訓音義 高僧 行解雙運 不入世流 五燈會元二壽州道樹 年將五十 因遇高僧誘諭 遂誓出家 禪林寶訓四 僧中有高僧 士亦有高士

고승(高僧) 덕이 높은 승려. 선림보훈음의. 고승(高僧) 행해(行解)를 쌍으로 운행하면서 세류(世流)에 들지 않는다. 오등회원2 수주도수. 나이가 거의 50에 고승(高僧)의 유유(誘諭; 달래며 깨우쳐 줌)를 만남으로 인해 드디어 출가를 맹서했다. 선림보훈4. 승려 중에 고승(高僧)이 있고 사()도 또한 고사(高士)가 있다.

) --> 

高僧傳】 ①集錄德高望重之僧伽傳記 自時代而言 最古之高僧傳爲梁朝慧皎之高僧傳十四卷 繼之有唐代道宣之續高僧傳三十卷 宋代贊寧之宋高僧傳三十卷 明代如惺之大明高僧傳八卷 以上四傳合稱爲四朝高僧傳 其後有明朝明河之補續高僧傳二十六卷 民國喩謙等人之新續高僧傳六十五卷 韓國之高僧傳有高麗朝覺訓之海東高僧傳兩卷 日本則有師蠻之本朝高僧傳七十五卷 繼之 有道契之續日本高僧傳十一卷 性燉之東國高僧傳十卷 十四卷 又作梁高僧傳 梁傳 梁朝慧皎(497-55 4)著 書成於梁天監十八年(519) 收於大正藏第五十冊 全書收錄自東漢明帝永平十年(67)佛敎傳入中國以來 至梁朝天監十八年 凡四五三年間 二五七位高僧之傳記 加上旁出附見者 實收五百人之傳記 全書分爲十科

고승전(高僧傳) 덕이 높고 명망이 높은 승가(僧伽)의 전기를 집록한 것. 시대로부터 말하자면 가장 오래된 고승전은 양조(梁朝)의 혜교(慧皎)의 고승전 14권이 됨. 이를 이어 당대 도선(道宣)의 속고승전 30권ㆍ송대 찬녕(贊寧)의 송고승전 30권ㆍ명대 여성(如惺)의 대명고승전 8권이 있음. 이상의 4()을 합칭해 사조고승전(四朝高僧傳)이라 함. 그 후에 명조 명하(明河)의 보속고승전 26권과 민국 유겸(喩謙) 등의 사람의 신속고승전 65권이 있음. 한국의 고승전으로는 고려조 각훈(覺訓)의 해동고승전 두 권이 있음. 일본은 곧 사만(師蠻)의 본조고승전 75권이 있으며 이를 이어 도계(道契)의 속일본고승전 11권과 성돈(性燉)의 동국고승전 10권이 있음. 14. 또 양고승전ㆍ양전으로 지음. 양조(梁朝) 혜교(慧皎; 497-554)가 지었으며 서책이 양() 천감 18(519)에 이루어졌으며 대정장 제50책에 수록되었음. 전서에 동한 명제 영평 10(67) 불교가 중국에 전입한 이래로부터 양조 천감 18년에 이르기까지 무릇 453년 간 257위의 고승의 전기를 수록했음. 방출(旁出)의 부록으로 보이는 자를 위에 더하면 실로 500인의 전기를 수록했음. 전서를 10()로 분류했음.



자세히 보기

http://blog.daum.net/pyungsimsa/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