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장야호화(百丈野狐話)
불락불매조허인(不落不昧早虛因)
열개날취유당인(裂開捏取由當人)
적수호여호수적(赤須胡與胡須赤)
팔량원래시반근(八倆元來是半斤)
불락(不落)이라 하거나 불매(不昧)라 함은 벌써 헛된 인연이니
열개(裂開)와 날취(捏取)가 당인(當人)을 말미암도다
붉은 수염 오랑캐와 오랑캐 수염 붉음이여
팔량(八倆)이 원래 이 반근(半斤)이니라.
제목 스님(百丈懷海)이 상당할 적마다 어떤 한 노인이 대중을 따라 청법(聽法)했다. 어느 날 대중이 물러갔는데 오직 노인만 가지 않는지라 스님이 묻되 너는 이 어떤 사람이냐. 노인이 가로되 나는 과거 가섭불시(迦葉佛時)에 일찍이 이 산에 주지(住持)했는데 학인(學人)이 묻되 크게 수행한 사람도 도리어 인과에 떨어집니까 아닙니까. 내가 대답해 가로되 인과에 떨어지지 않느니라(不落因果) 함으로 인해 드디어 오백생(五百生)에 야호신(野狐身)으로 떨어졌습니다. 이제 화상께 청하오니 일전어(一轉語. 轉은 量詞니 곧 한마디)를 대신하십시오. 이 몸을 벗고 싶습니다. 스님이 가로되 네가 시험삼아 물어보아라. 노인이 가로되 크게 수행한 사람도 도리어 인과에 떨어집니까 아닙니까. 스님이 가로되 인과에 매(昧)하지 않느니라(不昧因果). 노인이 언하(言下)에 대오했다. 예(禮)를 짓고 가로되 내가 이미 야호신(野狐身)을 벗어 산 뒤를 향해 머뭅니다. 감히 비옵나니 망승(亡僧)의 진송(津送. 망자를 떠나보냄. 죽음이란 배가 나루터를 떠남과 같음)에 의해 주십시오. 스님이 유나(維那)를 시켜 백추(白椎)케 하고 대중에게 고하되 식후(食後)에 망승(亡僧)을 보낼 것입니다. 식후에 스님이 대중을 거느리고 산 뒤의 바위 아래에 이르니 과연 한 개의 죽은 여우를 발견한지라 이에 의법화장(依法火葬)하였다. 스님이 저녁에 이르러 상당해 앞의 인연을 들었다. 황벽(黃檗. 希運이니 百丈의 法嗣)이 바로 묻되 고인이 일전어(一轉語)를 틀리게 지대(祇對. 대답)해 오백생에 야호신으로 떨어졌거니와 단지 전전(轉轉. 轉은 量詞니 대답할 적마다의 뜻)이 틀리지 않았다면 합당히 이 무엇을 지었을까요. 스님이 가로되 앞으로 가까이 오너라 너를 향해 말하리라. 황벽이 앞으로 가까이 가서 스님을 일장(一掌) 때렸다. 스님이 박수하고 웃으며 가로되 장차 오랑캐 수염이 붉다 하였더니 다시 붉은 수염 오랑캐가 있구나 (將謂胡鬚赤 更有赤鬚胡) [五燈全書卷五 百丈懷海章].
2~4행 날(捏)은 주워 모을 날. 수(須)는 수염 수. 팔량(八倆)은 반근(半斤).
'태화당수세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0년 세존견명성오도화(世尊見明星悟道話) (0) | 2019.08.02 |
---|---|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0년 조주구자무불성화(趙州狗子無佛性話) (0) | 2019.08.01 |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0년 덕산탁발화(德山托鉢話) (0) | 2019.08.01 |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0년 임제문법피타삼돈방화(臨濟問法被打三頓棒話) (0) | 2019.08.01 |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0년 세존염화미소화(世尊拈花微笑話) (0) | 2019.08.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