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화당수세록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원통(圓通)

태화당 2019. 8. 2. 09:32

원통(圓通)

) --> 

묘상원무상(妙相元無相)

무상무불상(無相無不相)

원통관자재(圓通觀自在)

무물부진용(無物不眞容)

석파허공골(析破虛空骨)

계취청풍삭(繫取淸風索)

소탕야건립(掃蕩也建立)

수처무종적(隨處無踪跡)

) --> 

묘한 모양은 원래 모양이 없는지라

모양도 없고 모양 아님도 없나니

원통관자재(圓通觀自在)

물건마다 진용(眞容) 아닌 게 없도다.

허공의 뼈다귀를 쪼개어 깨뜨리고

청풍의 새끼를 엮어 취하나니

소탕하고 또 건립하되

곳을 따라 종적이 없도다.

) --> 

   1~8행 상()은 모양 상. ()은 뚜렷할 원. 원통(圓通)은 성체(性體)가 주편(周徧)함을 가로되 원()이라 하고 묘용(妙用)이 무애(無碍)함을 가로되 통()이라 함 (性體周徧曰圓 妙用無碍曰通) [三藏法數三十六]. 관자재(觀自在)는 관세음(觀世音)의 다른 이름. ()은 얼굴 용. ()은 쪼갤 석. ()는 묶을 계. ()은 새끼 삭. 5행은 소탕(掃蕩), 6행은 건립(建立)의 뜻. 8행은 건립을 하거나 소탕을 하거나 종적 없는 것이 관자재의 기용(機用)이란 뜻.

) -->